경과원, ‘경기도형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 포럼 및 네트워킹’ 행사 개최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9일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경기도형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 포럼 및 네트워킹’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도내 산업단지와 협동조합 구성원들에게 공유경제 인식 교육을 실시하고, 경기도형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토론과 공유단체ㆍ공유기업 간 네트워킹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는 김기준 경과원장을 비롯해 공유단체 및 기업관계자, 유관기관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토론회와 산업단지 공유경제 활성화 지원 사업 안내 순으로 진행됐다.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경기도 산업단지 및 협동조합이 전통제조업으로 대다수 이뤄진 상황에서 산업 환경 구조 변화 대응을 위해 공유경제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또 공유기업 9개사가 홍보부스를 구축해 참여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 각종 공유단체와 네트워킹의 시간을 가졌다.

김기준 경과원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경기도 특성에 적합한 공유경제 사업 모델을 발굴 및 도입하게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공유경제를 확산시키고 상생ㆍ협력하는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 내에는 총 176개의 산업단지(19만여 명 근무, 지역총생산의 13.7% 차지)가 조성돼 있다. 하지만 제조업 중심의 영세한 산업단지가 90% 이상이며, 20년 이상 노후된 산업단지가 매년 11%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도와 경과원은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면서 영세하고 노후화된 기존 산업단지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혁신요인으로 공유경제를 대안으로 마련했다. 산업단지와 협동조합의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올해까지 도내 22개의 산업단지에 총 18억 원을 투입해 환경개선 및 각종 사업을 운영해 오고 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