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역할 ‘새 정책 발굴’
개선점 ‘정책 반영 부족’
지방자치단체가 자문·심의기관 성격의 각종 위원회를 내실 있게 운영하려면 투명한 위원 선정과 역할 및 권한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위원회 제도의 평가와 개편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보고서는 도와 31개 시ㆍ군 소속 위원회 ‘위원’ 6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지난해 12월 14∼18일) 결과와 도의 216개 위원회 업무를 담당하는 ‘운영 공무원’ 2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7월 25일∼8월 7일) 결과를 토대로 위원회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위원회 제도의 핵심역할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위원은 ‘새로운 정책 의제의 발굴 및 제언’(26.2%), ‘정책기획 단계 자문’(26.2%)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운영 공무원은 ‘정책 심의 및 의결’(36.1%), ‘정책기획 단계 자문’(29.6%) 순으로 답했다.
위원회가 기획, 집행, 평가 등 정책 과정에서 참여하고 있는 단계를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기획 단계’라는 응답이 위원(30.8%)과 운영 공무원(46.8%) 모두 가장 많았다. 위원의 40.2%는 위원회의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책임성 강화방안으로는 ‘투명하고 대표성 있는 위원 선정’(43.9%), ‘참여 위원 및 회의 결과 공개’(28.0%) 등을 꼽았다.
위원회 운영상 요구되는 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위원은 전체의 24.3%가 ‘논의 결과에 대한 정책 반영 노력 부족’을 꼽았다. 그다음으로 ‘위원회의 전문성 부족’(15.0%), ‘제한된 위원회의 역할 및 권한’(14.0%) 순으로 답했다.
운영 공무원의 경우 전체의 18.1%가 ‘제한된 위원회의 역할 및 권한’을 꼽았고 다음으로 ‘소극적 회의 개최와 저조한 참석률’(17.6%)이라고 답했다.
연구를 수행한 조성호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민관협치 제도인 위원회 운영실태와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목적으로 수행했다”면서 ▲민관협치 중요성에 관한 공무원 인식도 제고 ▲민간참여 모니터링 공개 ▲논의결과 정책반영 및 민간인 위원장 확대 ▲투명하고 대표성 있는 위원 선정 및 개방성 강화 등을 제안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