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청와대에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를 접견한다고 청와대가 15일 밝혔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비건 대표를 단독 접견하는 것은 두 번째로, 평양 남북정상회담 직전인 지난해 9월 이후 15개월 만이다. 이번 접견은 북미 간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이뤄지는 만큼 양측 회동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설정한 ‘연말시한’이 다가오는 것과 관련, 북미 대화 재개와 한반도 긴장 고조 상황을 타개하는 방안을 깊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하는 한편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비건 대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식적인 대북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 북미는 지난 2월 말 ‘하노이 노딜’ 이후 갈등을 지속하고 있다. 문 대통령 주선으로 지난 6월 판문점 남북미 3자 회동과 북미 정상 간 단독 면담이 이뤄졌지만 이후 10개월 가까이 실질적인 비핵화 대화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다.
더욱이 북한의 연이은 단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 징후 등이 포착되고, 미국이 경고음을 내는 등 대결 구도가 지속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갈등도 격화하고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최근의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화 모멘텀을 유지하기로 했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이 비건 대표를 접견하는 자리에서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협상에 대한 의제가 거론될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체결을 위한 5차 회의는 오는 17~18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와 관련, 미국 측 수석대표인 제임스 드하트 국무부 선임보좌관이 비건 대표 방한과 같은 날인 이날 입국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방위비 협상 회의 하루 전날 비건 대표를 만나 미국의 요구가 합당하지 않다는 점을 거론하고, 한미동맹에 입각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이를 타결하자고 언급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