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개풍양묘장 조성 사업’ 9년만 재개 전망
경기도의 남북교류사업인 ‘경기도 개풍양묘장 조성 사업’이 9년 만에 재개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유엔 1718 제재위원회가 ‘개풍양묘장 조성사업’에 필요한 물자에 대한 ‘대북제재 면제’ 승인 신청을 받아들였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대북 인도협력사업의 국제적 정당성을 인증받은 ‘사상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면제 승인을 받은 물자는 양묘 온실, 양묘 기자재, 공사 장비와 작업 공구 등 모두 152개 품목이다. 사업비는 22억 7천500만 원에 달한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사단법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앞으로 개풍양묘장 조성사업에 관해 북측과의 협의를 진행하는 등 사업의 원활한 재개를 위해 후속 조치를 진행할 방침이다.
도는 또 이번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계기로 개성지역 역사·문화유적 탐방, 양돈을 포함한 축산 협력, 결핵과 말라리아 방역 지원, 북한 농촌종합개발사업, 남북 체육 교류 협력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개풍양묘장 조성사업이 재개되면 교착국면에 접어든 남북 교류협력이 활력을 되찾는 것은 물론, 북한과 인접한 접경지역 자연재해 피해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풍양묘장 지원사업은 2007년 9·13 남북합의서 체결에 따라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개풍동 일대 9㏊에 묘목을 생산할 수 있는 산림 녹화사업의 전초기지를 만들어 황폐화한 북한 산림을 복원하는 프로젝트다. 이에 도는 지난 2007∼2010년 경기도 남북교류협력기금 17억 7천만 원을 들여 온실 5개 등 6㏊에 연간 150만 그루 묘목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그러나 2010년 남북관계가 나빠지며 최근까지 중단됐다.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지난 2월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교착 국면에 접어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상황과 연일 강대 강으로 치닫는 북미 간의 설전을 보면서 많은 국민이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면제승인은 지방자치단체와 국내 민간단체가 함께 대북제재를 극복한 첫 번째 사례로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물꼬를 트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