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30년을 앞둔 1기 신도시 주민들이 노후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리모델링보다 재건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1기 신도시 리모델링이 필요한가(선임연구위원 장윤배)’ 보고서를 22일 공개했다.
보고서는 지난 10월17일부터 11월6일까지 1기 신도시 내 공동주택 자가 거주자 405세대를 대상으로 진행된 방문면접조사 결과(신뢰도 95%, 오차범위 ±4.9%)를 토대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리모델링 사업이 추진되면 찬성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66.9%로 나타났다. 신도시별로는 일산(75.0%), 산본(74.4%), 분당(63.4%), 중동(61.7%), 평촌(60.0%) 순으로 찬성률이 높았다. 찬성하는 이유로는 노후 아파트 성능 개선(76.0%)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선호하는 주거환경개선 사업유형에 대한 질문에는 리모델링(37.8%)보다 재건축(62.2%)을 더 많이 선택했다. 신도시별로 재건축은 평촌(73.8%), 리모델링은 분당(43.9%) 거주자의 선택 비율이 높았다.
리모델링 유형에 대해서는 60.1%가 세대수 증가 없이 노후 배관 교체, 방 개수 추가 등 불편 사례별로 추진하는 ‘맞춤형 리모델링’을 선호했다. 전용면적 및 세대수를 늘리는 ‘증가형 리모델링’, 노후 시설을 개선하는 ‘수선형 리모델링’은 각각 19.9%의 선호도를 보였다.
리모델링하면 사업비 일부를 부담하겠다는 응답한 비율은 42.5%, 부담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57.5%로 나왔다. 1억 원 미만 부담 의향(47.9%)과 부담 의향 없음(40.7%)이 88.6%로 나와 비용 부담에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기 신도시는 2021년 준공한 지 30년이 돼 재건축사업 대상이 된다. 2001년 건축법 시행령 개정으로 도입된 리모델링은 사용 승인 후 15년이 지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허용되며 도내에서는 성남, 안양, 수원 등 일부 지역에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