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 우수 중소기업에 4조 5천900억 원 규모의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2020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했다. 운용계획에는 미래 신산업과 혁신성장 분야 유망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방안과 기업 간 공동사업,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원 방안 등이 담겼다. 또 자금의 활용 폭을 넓히고자 시중 은행과 연계해 ‘민간자금 매칭형 대출’을 신설한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제도는 시중은행에서 자금 조달이 어렵지만, 기술과 사업성이 우수한 중소기업에 1.85~2.65% 수준의 저금리로 5~10년 장기간 자금을 융자해주는 사업이다. 내년도 자금 규모는 올해보다 9천200억 원 늘어난 규모로, 24일부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32개 지역 본부를 통해 공급한다. 성장 단계별로는 ▲창업기 2조 5천500억 원 ▲성장기 1조 7천300억 원 ▲재도전 기업 및 긴급 유동성 자금 3천100억 원으로 구분해 운영된다.
중기부는 시스템반도체ㆍ바이오헬스ㆍ미래차 등 3대 신산업 분야와 소재ㆍ부품ㆍ장비 분야 유망기업으로 추천된 기업에 대해 자금상환 계획 등 최소 요건만 검토한 후 자금을 신속히 빌려주는 ‘하이패스 심사’ 방식으로 3천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과 자율주행차, 바이오헬스, 스마트팜 등 이른바 ‘DNA(데이터ㆍ네트워크ㆍ인공지능)’ 분야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스케일업(기업의 폭발적 성장) 프로그램도 신설, 연간 100개 사를 공모 방식으로 발굴해 2천억 원을 투자한다. 창업기업이 초기 정착기 3~7년을 버티고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창업기ㆍ성장기 연계자금 6천억 원도 새로 마련된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전용자금으로 5천억 원을 배정해 내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가 세워질 수 있도록 유인책으로 활용한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정책 금융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시중 은행과의 연계를 통한 ‘민간자금 매칭형 대출’을 1천억 원 신설하고, 앞으로 5년간 5천억 원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에 100% 정책자금으로 지원하던 것을 정책자금 60%, 은행 대출 40%의 비율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한정된 정책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은행은 신규 기업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또 규제자유특구 사업 등 기업 간 공동사업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 협력형 자금’을 기존 500억 원에서 1천억 원으로 증액 편성해 생산설비 공동 활용, 원부자재 공동구매, 공동 물류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금융 접근성이 낮은 사회적 경제 기업 지원에 600억 원을 편성하고, 전문성을 갖춘 40대 경력자들이 기술 창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자금을 500억 원 규모로 신설하는 등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기업에 다양한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