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 내 청라광역폐기물소각장 현대화사업 과정에서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환경시설을 고민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천시는 24일 오전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인천시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했다.
이날 보고회에 참석한 강원모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남동4)은 업체 측에 “해외는 시청사 옆에 소각장을 설치한 경우도 있고 소각장 굴뚝에 전망탑을 설치한 곳도 있다”며 “이런 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 환경시설에 더한 결합시설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종인 시의원(민·서구3)도 “무엇보다 지역주민과의 갈등해소를 중점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서구에서 자체 TF를 통해 용역을 발주했는데, 먼저 결과가 나오면 적극적으로 반영해달라”고 했다.
보고회를 지켜본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소각장 시설이 시민으로부터 신뢰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시가 반성해야 한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이번 용역이 1년 간 시간을 끌려는 것 아닌가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며 “시와 군·구가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려는 노력을 병행해야 하고 다른 지역의 벤치마킹 정도가 아니라 새로운 시각의 환경시설 설치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보고회는 그동안 소각장으로 피해를 받아온 청라 주민의 이전·폐쇄 요구에 따라 현대화사업을 위한 부지선정 등 종합적인 사업 검토를 위해 마련한 자리다.
용역업체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18년 기준 인천 폐기물 소각시설의 1일 처리량은 910t인데, 수도권매립지 종료 후인 2025년에는 1천850t으로 늘어나 현 시설이라면 매일 940t가량의 폐기물 처리문제가 생긴다.
1년동안 하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업체는 폐기물 발생량 분석부터 폐기물 처리 계획과 사업 방안 검토, 지역갈등 해소와 민원해결 방안 등을 포함해 시설 설치가 가능한 입지 조사까지 전방위적인 과업을 수행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