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인상·조조할인제 등 올해도 최대 45억 손실 전망
서울·경기 출퇴근 시민 위해 국토부 준공영제 도입 절실
인천지역 광역버스 노선의 2018년 운영 손실이 25억여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2019년에는 최대 45억여원의 운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서울과 경기로 출·퇴근하는 시민 등을 위해 광역버스 노선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국토교통부의 준공영제 도입이 절실하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광역버스 등 경영실태 파악 용역’을 통해 광역버스 업체 6곳을 대상으로 재무제표 등을 분석한 결과, 2018년 인천에서 서울과 경기 등을 오가는 광역(직행좌석)버스 노선의 운송수입금은 298억2천300만원이다. 반대로 이들 노선 운영에 들어가는 연료비, 노무비, 경비, 판매비, 관리비 등 운송원가는 운송수입금보다 많은 400억6천700만원에 이른다. 수입보다 지출이 무려 102억4천400만원이나 많은 것이다.
유가 보조금과 광고수입 등 88억3천300만원을 감안한 이들 노선의 총 운송수지 적자는 25억7천8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2019년 이들 노선의 총운송수지 적자 규모는 2018년보다 약 15억~20억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는 2019년 이들 노선의 운송수입, 보조금, 광고수입 등이 2018년과 큰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고 물가상승률과 운전직 인건비 인상률을 감안하면 최소 41억2천400만원에서 최대 45억5천200만원의 총운송수지 적자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게다가 광역버스 조조할인제(아침 출근시간대 요금 20% 할인)에 따른 운영 손실도 무시할 수 없다. 시는 조조할인제를 적용 중인 노선 18개의 연간 손실 규모가 노선별 최소 422만4천365원에서 최대 4천79만5천935원에 이를 것으로 산정했다. 전체 노선의 연간 손실 규모는 4억6천37만4천945원이다.
인천의 광역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서울과 경기로 출·퇴근하는 시민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광역버스 업체의 근로자들이 파업이라도 하면 시가 별도의 비상교통대책까지 마련해야 할 정도다. 그만큼 안정적인 광역버스 노선 운영은 시민의 이동편의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시내버스 준공영제로 매년 1천억원 이상의 예산을 쓰는 시가 광역버스 노선까지 준공영제를 확대하기에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이미 시는 지난 2018년 광역버스 업체들이 준공영제를 요구하며 운송사업 면허를 반납했을 때부터 준공영제를 광역버스까지 확대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지키고 있다. 또 지역을 넘나드는 광역버스의 특성상 정부 차원의 준공영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게 시의 주장이다.
시 관계자는 “광역버스 경영실태를 파악한 이번 용역은 준공영제 확대의 의미가 아니라, 주52시간 근무에 따른 운전직 근로자의 추가 채용과 요금 인상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국토부가 나서 추진해야 할 일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2020년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용역을 추진하고 일부 노선에 대해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당연히 시범사업 대상에 인천과 서울·경기를 오가는 광역버스 노선을 선정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