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올해 매출 감소세에도 연구ㆍ개발(R&D) 비용을 지난해보다 4조 원 가까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으로 보면 네이버가 가장 많았으며, 투자 규모는 삼성전자가 가장 컸다.
2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500대 기업 중 R&D 비용을 공시하는 211개 기업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투입한 R&D 비용은 모두 39조 2천274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5조 2천405억 원에서 3조 9천870억 원(11.3%)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00대 기업의 매출액이 10조 658억 원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불황에도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R&D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매출에서 R&D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79%에서 3.13%로 1년 만에 0.34%p 올랐다.
기업별로 보면 네이버가 매출 4조 8천60억 원 가운데 25.96%(1조 2천477억 원)를 투자해 500대 기업 중 R&D 투자 비중이 가장 높았다. 1년 새 0.73%p 상승하면서 1위에 올라섰다. 2위는 매출의 25.63%(1천912억 원)를 투자한 셀트리온이 차지했다. 이어 넷마블(20.48%), 한미약품(19.04%), 엔씨소프트(18.76%), 카카오(15.45%), 대웅제약(13.27%) 등이 상위권을 형성했다. 재계 1위인 삼성전자는 매출 170조 5천161억 원 가운데 8.97%(15조 2천877억 원)를 투자해 16위에 올랐다.
업종별로는 제약업종이 13.16%로 유일하게 10%를 넘었고 ITㆍ전기전자(8.40%)와 서비스(6.70%), 자동차ㆍ부품(2.72%), 조선ㆍ기계ㆍ설비(2.41%)가 뒤를 이었다.
R&D 투자비용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3분기 누적 총 15조 2천877억 원을 투자했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6% 증가한 규모다. 이어 LG전자(3조 252억 원), SK하이닉스(2조 3천281억 원), 현대자동차(1조 8천839억 원), LG디스플레이(1조 7천326억 원), 네이버(1조 2천477억 원), 기아자동차(1조 1천723억 원) 등이 1조 원 이상을 투자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