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흥·김포 ‘42조 잭팟’ 터지나…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역 오늘 발표

道, 기존 지구와 함께 융복합 지식산업 육성 방침

▲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위치도
▲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위치도

안산, 시흥, 김포가 4차 산업 전진기지를 꿈꾸며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에 나선(본보 11월 22일자 1면) 가운데 42조 원 규모인 ‘경기도 경제자유구역 확대’의 운명이 27일 결정된다. 꽉 막힌 투자 활로로 인해 해당 사업이 주목받는 만큼 비수도권 견제ㆍ실제 투자 수요 등 변수를 극복할지 이목이 쏠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국 지자체로부터 신청받은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 사안에 대한 심의 결과를 27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이와 관련, 산자부는 지난해 11월 전국 경제자유구역(외국인 투자 및 거주에 유리한 기업환경ㆍ생활환경으로 해외자본 유치 거점 역할)의 한계점(클러스터 형성 미약ㆍ혁신 인프라 부족ㆍ대규모 개발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 총 지구 면적(360㎢) 내 개편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도는 시ㆍ군과의 의견 수렴을 거쳐 ▲안산 대부 ▲시흥 정왕ㆍ배곧 ▲김포 대곶 등 3개 시ㆍ4개 지구(총 면적 15.85㎢)를 지난 9월 추가 지정 후보지로 제출했다. 현재 도내 경제자유구역은 황해경제자유구역 내 평택 포승ㆍ현덕지구 등 2곳(총 면적 4.36㎢)이다. 도는 기존 지구와 신규 지구를 ‘4차 산업 클러스터 및 복합개발’ 비전으로 묶어 서해안권 문화ㆍ관광ㆍ융합 서비스 등 융복합 지식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위치도
▲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위치도

산자부 공모에 따라 울산과 광주는 신규 지정을, 인천과 충북은 경기도처럼 추가 확대 지정을 요청했다. 이어 산자부는 지난달 후보지 현장 실사, 발표(프레젠테이션) 평가를 진행했다. 산자부는 이날 최종 종합평가 회의를 통해 27일 공개할 최종 후보지를 자체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 미래 먹거리가 걸린 가운데 이날 도내 후보 지자체는 긴장감을 감추지 못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김포다. 김포는 수도권 규제 등으로 지역경제가 경색되는 만큼 경자구역 지정을 통한 대곶지구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주변 지역 1천400여 곳 주민과 산업체를 설문 조사했고, 그 결과를 산자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대곶지구 주변 주민 92%, 산업체 82%가 대곶지구 경제자유구역 지정ㆍ개발을 동의하는 것으로 명시됐다. 안산과 시흥 역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사전재해 영향성 등을 면밀히 준비한다는 방침이다.

경기지역 외 후보지가 울산, 광주, 충북 등 비수도권인 만큼 타 후보지의 ‘수도권 견제’를 뚫는 게 관건이다. 산자부는 27일 ‘경제자유구역 예비후보지’를 알리고, 관계 부처(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등) 간 협의와 경제자유구역위원회(산자부 장관 주재) 심의ㆍ의결 등을 거쳐 내년 6월 사업을 최종적으로 확정한다. 그다음에는 도지사 주재로 실시계획 승인, 보상 및 개발사업 등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도내 4개 지구가 모두 지정되면 경제 효과는 42조 3천억 원, 취업 인원은 6만 3천 명이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