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관계 중요성이 커지면서 DMZ 발전 방향이 주목받는 가운데 수도권 주민들은 DMZ 환경적 가치를 경제적 가치보다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DMZ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DMZ 발전위원회’를 구축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의 남북 환경협력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를 보면 연구원은 수도권 주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DMZ와 접경지역 활용ㆍ개발 시 우선시해야 할 핵심 가치로 주민 82%가 ‘환경’을 지목했으며 ‘경제’는 17%에 불과했다.
이에 연구원은 환경 분야별 협력방안으로 ▲자연환경(산림 병해충 피해회복, 양묘장 현대화) ▲하천(수변 완충구역 설정, 한강하구 거버넌스 운영) ▲상하수도(취수원과 취수방식 결정, 하수시설 기술지원) ▲에너지(소형 태양광 지원, 임진강 생물권보전지역에 에너지 자립마을 모델 구축) ▲보건(남측의 제약과 북측의 천연물 소재를 결합한 R&D 추진, 남북 가축전염병 공동대응)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DMZ 보전방안으로 국립공원 지정, 세계문화유산 등재 등을 강조했다. 이 외 보전가치가 높은 토지를 매입한 이후 국제기구와 공동으로 DMZ 보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안 등도 언급했다. 이처럼 기존 개발 방식과는 다른 접근 방향이 필요한 DMZ에 대해 별도로 환경ㆍ개발 전문가, 관련 기관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위원회를 설립하자는 주장도 명시됐다.
연구를 수행한 이기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백지상태인 DMZ 인근 지역에 기존 남측 개발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발전방식을 창조, 지속 가능한 발전모델을 구상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