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지자체 쓰레기 소각시설 건립, 주민반대에 '진통'

의정부·양주·구리지역 민-민 갈등까지…민간자본 투자방식에 우려도

구리자원회수시설. 구리시 제공
구리자원회수시설. 구리시 제공

의정부, 양주, 구리 등 경기북부 지자체들이 쓰레기 소각시설 건립을 추진 중이지만 시민들 사이에서 찬반 여부를 놓고 ‘민-민 갈등’까지 빚어지며 진통을 겪고 있다.

29일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구리시는 자원회수시설(생활 쓰레기 소각장) 옆에 소각로 1기를 증설하는 ‘에코 커뮤니티 사업’을 남양주시와 함께 민간투자방식으로 추진한다. 총 1천688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구리에는 남양주와 함께 이용하는 하루 200t 처리 규모의 소각로가 있다. 소각 잔재물은 남양주에 매립하고 있다.

구리시는 이 시설을 가동한 지 17년이 지나 낡은 데다 쓰레기양이 늘어 하루 100t 규모를 추가 설치, 음식물 쓰레기까지 함께 처리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2013년 구리·남양주시와 민간 업체가 협약을 맺으면서 시작됐으나 전임 시장의 반대로 중단됐다.

구리시는 이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수도권 매립지와 서울 강동구 음식물 처리 시설의 운영 방침이 변경돼 비용 부담이 생겼기 때문이다.

시는 협약 파기로 손해배상 소송이 진행되면 비용 측면에서 더 큰 피해가 예상되는데다 일부 시민사회단체의 요구도 있어 재추진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설문조사와 토론회에서 반대 의견이 훨씬 많았는데 민간자본으로 소각로를 증설하는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주변에 학교와 아파트가 많아 피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양주시는 생활 쓰레기를 고형연료(SRF)로 가공한 뒤 소각해 전기를 생산하는 열병합발전소를 남면에 추진하고 있다. 이곳에서 하루 300t의 고형연료를 태워 10.5㎿를 생산할 계획이다.

민간업체 2곳이 각각 2016년과 2018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건립 허가를 받았고 이를 토대로 양주시는 지난 9월 건축 허가를 내줬다.

하지만 쓰레기 소각시설 건립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모임을 결성, 30일 집회와 기자회견을 앞두고 있다.

열병합발전소 반대 시민모임은 “SRF 발전소는 다른 지역 쓰레기를 들여와 소각, 초미세먼지와 악취,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주범”이라며 “시민 건강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시는 2023년 가동을 목표로 자일동 환경자원센터 안에 하루 처리용량 220t 규모의 소각장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건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건립 예정지와 인근 지역 일부 주민을 비롯해 인접 도시인 포천·양주시가 반대하자 의정부시는 지난 6월 중앙환경분쟁 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이들 시설에 대한 환경 피해 우려와 별도로 민간투자 방식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쓰레기 소각시설을 반대한 한 정치인은 “시민에게 필요한 시설인 만큼 민간자본으로 건립하는 방식은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며 “지자체가 건립비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업체가 처리 비용을 인상하면 결국 시민이 피해를 본다”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