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2020 지상명령은 '기업 살리기'

기업 친화적 현장 중심 4대 맞춤형 지원정책 마련

▲ 이재준 고양시장. 고양시 제공

고양시가 새해 지상명령은 ‘기업 살리기’라는 각오로, 보다 확실한 기업지원 정책들을 펼친다.

시 기업지원과는 이를 위해 전년 218% 증가한 75억4천만 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기업맞춤형 지원책 강화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우선, 고양시는 4개 분야 맞춤형 기업지원책을 강화한다. ▲자금지원 및 기술개발 지원 ▲판로개척 지원 ▲홍보지원 ▲단체운영 및 환경개선 지원 등의 4개 분야로 지원정책을 구분하고, 기업의 현실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추진해 나간다.

일산테크노밸리 기업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일산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일산서구 대화동·법곳동 일원 약 85만㎡ 부지에 IT·방송영상·첨단의료 등 4차 첨단산업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으로, 내년 12월경 실시계획인가 후, 2021년 3월경 착공해 2023년 12월까지 준공될 예정이다. 현재까지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기업은 263개 업체다.

시는 올해 전문 용역사를 통해 시의 산업현황과 미래산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파급효과가 있는 앵커기업들을 대상으로 유치 활동을 펼친다.

또 입주 기업에 조성원가로 용지를 공급하고, 취득세 50% 감면 및 재산세 5년간 35% 감면 등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투자지역에 입주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현행 10억 원 규모로 지원해주는 투자보조금을 대폭 상향해 지원할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이와함께, 일정규모 이상 고양시에 거주하는 상시 근무인원 채용 시, 초과 고용 근로자에 대해 고용보조금과 전세자금 이자를 일부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공장등록 인허가에 시일이 많이 소요돼 입찰 ?계약 수행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건의를 수용해, 공장등록 처리기한을 기존 7일에서 4일 이내로 축소했다.

팩토리온(factory-on, 공장등록온라인지원시스템)을 이용해 공장등록 접수ㆍ처리가 가능한 무방문(No-Visit) 행정서비스를 강화하고, 공장등록증명서 무료 발급에 대한 홍보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노동권익향상ㆍ비정규직노동자 지원ㆍ노사상생 정책들과 함께 감정노동자 권리보장ㆍ 청소년 노동인권보호ㆍ영세업종 차별화 지원 등 3대 역점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2020년 감정노동자 권리보장위원회를 구성하고 가이드라인 제작 및 배포ㆍ상담ㆍ교육 홍보 캠페인 등을 진행한다. 또한, 노동인권 사각지대에 놓이기 쉬운 청소년을 위한 노동인권보호도 역점 추진한다.

지난해 개소한 ‘28청춘창업소’를 기반으로 창업정책에도 힘을 싣는다.

시는 창업을 희망하는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정보교류 공간을 마련, 입주자 자체회의 및 바이어 회의ㆍ컨설팅ㆍ시제품 촬영ㆍ세미나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이재준 시장은 “2020년 고양시는 기업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나라가 살 수 있다는 각오로 최선을 다해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라며 “기업애로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고 수시로 애로 기업을 방문하여 기업 고충을 최소화 하겠다, 소극적ㆍ관례적인 행정이 아닌 기업 감동의 감성적 접근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고양=유제원·김민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