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련2동 공무원, 공익에 갑질 논란
온라인에 옥련1동 민원 인증이 화근
아무런 상관없는 공무원들 2차 피해
보복성 ‘정보공개 청구’ 업무량 폭탄
최근 인천시 연수구 옥련2동 주민자치센터에서 불거진 이른바 ‘마스크 공익 논란’의 여파가 인근 기관까지 번지고 있다.
논란에 대한 항의 민원이 실제 사건과 관련이 없는 기관으로 쏟아지면서 공무원들이 2차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30일 옥련1동 주민센터에 따르면 논란이 불거진 후 1일 평균 항의 전화가 50여통씩 걸려오고 있다.
직원 1명이 받는 항의전화만 하루 5~6건에 달한다.
이 같은 민원 세례는 지난 19일 옥련2동 주민자치센터 공무원과 공익근무요원이 마스크 정리업무를 두고 서로 책임을 묻는 글을 온라인 상에 올린 것이 발단이다.
당시 공무원이 공익근무요원에게 업무상 갑질을 한다는 논란이 퍼지면서 민원을 쏟아냈고, 해당 공무원은 휴가 조치에 공익근무요원은 근무지 재배치 처분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에 옥련1동 주민센터 민원 인증 글이 올라왔고, 번지수를 잘못 찾은 민원은 며칠째 빗발치고 있다.
고의로 업무량을 늘리려는 보복성 정보공개 청구도 이어지고 있다.
한 온라인사이트에는 옥련1동 주민센터에 항의하고자 정보공개청구를 했다는 인증 글이 올라왔고, 5~10년치 서류를 검토해야 하는 대규모 정보공개 청구가 실제 옥련1동 주민센터로 들어왔다.
행정시스템상 옥련1동 주민센터는 옥련2동 주민센터와 책임·담당 구역이 다르다.
그럼에도, 옥련1동 주민센터 측은 별다른 조처를 할 수 없어 울며 겨자먹기로 관련 민원을 옥련2동으로 전달하고 있다.
전체 직원 14명이 빗발치는 항의 민원을 감당하느라 정작 담당 구역 내 급한 민원들의 처리가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옥련1동 주민센터 관계자는 “다른 직원 모두 옥련2동 마스크 공익 사태에 관한 전화에 크게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연수구도 마땅한 대책을 내놓진 못하고 있다.
구는 주민센터가 자체적인 기관인데다 전담부서가 없다는 점을 들어 지원계획이 없다고 설명한다.
구 관계자는 “업무 분야에 따라 부서연계는 이뤄지고 있지만 주민센터를 총괄하는 부서 자체는 없다”며 “이번 사태로 피해를 보는 주민센터에 대해서도 별도의 지원책이나 계획은 따로 없으며 시간이 지나 여론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