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관광·제조·항만… 2030년 서해안권 발전 ‘밑그림’

국토부·경기·충남·전북과 2020년부터 수립용역 추진
인천로봇랜드·내항 재개발 등 지역 역점사업도 반영

인천시가 국토교통부,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와 함께 2030년의 서해안권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그린다. 새로운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에는 시가 2030년까지 추진할 관광휴양거점 구축, 제조업 혁신전략, 항만물류산업 육성 등의 여러 역점사업 등이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30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20년부터 국토부, 경기도, 충남도, 전북도와 함께 공동으로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변경)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 용역기간은 2020년 2~12월이다. 용역비 3억원 중 1억원은 국토부가 지원한다. 나머지 2억원은 서해안권의 시·도 4곳이 5천만원씩 나눠 부담한다. 국토부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2020년 12월 중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변경)을 결정·고시할 계획이다.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은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해안내륙발전법)’에 따라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경제권 및 국제적 관광지역을 발전시켜 경제·문화·관광 등 지역산업을 활성화하고 지역 간 교류와 국제협력을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근거로 국토부는 관련 개발구역을 지정할 수 있고, 시·도 역시 관련 개발계획을 만들어 세부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앞서 2010년 12월 국토부가 확정한 종합계획은 환황해 경제권을 주도하는 지식·첨단산업 융복합 벨트를 위한 국제비즈니스 거점 및 환황해 협력체계 조성, 초일류 첨단산업벨트 구축, 글로벌 해양 생태·문화 관광벨트 조성, 역내 외 연계 인프라 구축 등의 추진 전략 등이 담겨 있다. 그러나 해안내륙발전법의 유효기간이 2020년에서 2030년으로 늘어나면서 서해안 일대의 대내·외 여건 변화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종합계획의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서해안권의 시·도 4곳과 새로운 종합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새로운 종합계획에는 종전 종합계획에서 이어갈 사업을 비롯해 서해안권의 지역현황 및 개발여건을 반영하고 2030년의 서해안권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할 여러 신규 사업을 담는다.

특히 시가 2030년까지 인천과 서해안권 발전을 위해 추진할 여러 역점사업들도 담길 예정이다. 이미 종전 종합계획은 시의 대표 현안사업으로 꼽히는 인천 로봇랜드 조성, 남동국가산업단지 재정비, 인천 내항 재개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종합계획을 통해 윤곽을 드러낼 시의 역점사업에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 중 서해안권과 관련한 사업을 비롯해 관광휴양거점 구축, 제조업 혁신전략, 항만물류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시설 정비 및 확충, 국제행사 유치·개최 및 지원 등의 사업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해안내륙발전법의 개정으로 유효기간이 늘어나면서 종합계획을 변경할 필요가 있어 국토부 등과 관련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새로운 종합계획은 서해안권의 지역발전사업 추진을 위한 상위 법정계획으로 활용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