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워도 혁신하고 포용”…금융권 한마음

‘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홍 부총리 “경제 혈맥의 든든한 지원군 되길”

금융권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새해 인사를 나누고 혁신과 포용의 금융을 추진하자고 뜻을 모았다.

은행연합회(회장 김태영) 등 6개 금융권별 협회는 3일 오후 신라호텔 2층 다이너스티홀에서‘2020년 범금융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은성수 금융위원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민병두 정무위원장 등 금융계, 정치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신년사에서 “올해 경기반등, 성장회복을 위해 금융이 ‘경제의 혈맥’으로서 든든한 지원군이 되길 바란다”라면서 “자금 흐름이 더욱 더 생산적인 분야, 투자로 돌려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금융산업 자체의 변화와 혁신 노력이 절실하다”라면서 “규제샌드박스, 오픈뱅킹 등 새로 마련된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라고 주문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올해 금융위는 약 6천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혁신금융과 포용금융의 확산을 위해 매진할 것이다”라면서 “의원님들께서 신용정보법 등 데이터3법의 국회 통과를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은 위원장은 “금융위가 여러분을 감시하는 ‘파수꾼’이기보다는 ‘함께 뛰는’ 동반자로 평가받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0년이 세계화와 정치·경제 지형의 격동기였다면 앞으로의 10년은 인구구조와 기술·산업구조의 대전환기가 될 것 이다”라면서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대응해 나간다면 금융산업이 우리 경제의 미래를 밝히는 든든한 선봉장이 되리라 본다”라고 말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새해 들어서도 우리 금융환경은 큰 폭으로 개선되기 어려워 보인다”라면서 “저성장·저금리 추세와 가계부채 부담 속에 해외 리스크 요인이 가미돼 크고 작은 갈등과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금융환경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 원장은 “금융권은 국민으로부터의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라면서 “대내외 잠재 리스크에 보다 철저히 대비하고, 급변하는 기술환경 변화에 책임 있는 혁신으로 대응해야한다”라고 강조했다.

김태형 은행연합회장은 “금융의 혁신으로 새로운 성장기회를 만들어가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한다”라면서 건배사로 “기술은 융합! 서비스는 통합! 금융은 혁신!”을 제안했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