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선박 황함유량 규제 시작...저유황유 가격 상승 ‘현실화’

2020년 1월1일부터 시작한 국제해사기구(IMO)의 황산화물(SOx) 배출규제의 영향으로 저유황유(VLSFO) 가격 상승이 현실화하고 있다.

5일 해운업계 등에 따르면 1t당 550달러 정도이던 저유황유 가격이 황산화물 배출규제가 임박한 2019년 12월 말께 635~648달러로 올랐고 최근에는 700달러를 넘어서, 최근 3개월간 15% 이상 가격이 급등했다.

저유황유와 고유황유의 가격 차 역시 지난 2019년 9월 40달러, 10월 160달러, 12월 말~최근 280달러 이상 벌어져, 0.2배 정도 차이를 보이던 두 유종의 가격 차이가 배 이상 올랐다.

선박용 연료의 황 함량 비중을 기존 3.5%에서 0.5% 이하로 낮추는 규제에 따라 저유황유에 대한 수요가 급등한 결과다.

IMO는 이번 규제로 선박에서 나오는 황산화물이 77% 감소해 1년에 850만t을 감축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운업에서의 연료유 소비량은 2017년 기준 1일 380만t으로 글로벌 연료유 수요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사용량이 많아 그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저유황유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가격이 급등해 대다수 선사가 유류비 부담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란 것이다.

대형 원양선사들을 제외한 근해선사 등 2천t급 미만 선박들은 공간(선박 내부) 상의 문제로 스크러버를 설치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저유황유를 쓸 수밖에 없다.

또 스크러버를 설치한 선사들도 세정수 방출 문제로 오염수 배출통제해역(ECA)이나, 스크러버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에서 저유황유 사용은 필수다.

해운업계에서는 유류비 부담이, 높은 해운 운임 비용으로 이어져 제조업·운수업 등 전체 산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국내 선사들 대부분은 초기 부담이 큰 스크러버 설치보다는 저유황유를 사용하는 쪽으로 규제에 대응하고 있다”며 “저유황유 가격 급등으로 인한 연료비 증가는 근해선사 등 중소업체들을 중심으로 경영 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도 선사들이 규제에 대응하는 적응기간을 가질 수 있도록 저유황유의 안정적 공급 등 정책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