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통시장 14곳 특성화… 골목경제 활성화 ‘마중물’

‘상권진흥구역’ 구도심 상권 재탄생… ‘혁신시장’ 주민 소통의 장
‘경기공유마켓’ 열린 상업공간 10곳 지정… 3대 사업 신청 접수

경기도가 올해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 상권진흥구역, 경기도 혁신시장, 경기공유마켓 등의 특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6일 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에 따르면 도는 도내 6만 4천여 명 전통시장 종사자를 비롯한 자영업자의 생업기반 강화와 구도심 상권 부흥 등을 위해 올해 도내 전통시장 14곳을 대상으로 ‘2020년도 경기도형 전통시장 특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사업은 ▲경기도 상권진흥구역 ▲경기도 혁신시장 ▲경기공유마켓 등 3종으로 구성됐다. 사업 신청은 혁신시장·공유마켓의 경우 오는 31일, 경기도형 상권진흥구역은 2월 28일까지다.

우선 ‘경기도형 상권진흥구역’은 전통시장과 주변상권을 ‘상권진흥구역’으로 지정, 다양한 지원책을 펼쳐 침체된 구도심 상권을 활성화하는 것이 골자다. 도가 광역 지자체 최초로 도입한 사업으로, 민선 7기 4년간 총 6곳을 지정한다. 도는 지난해 2곳을 지정했으며, 올해 2곳을 신규 지정한다. 지정구역 1곳당 시설 개선, 마케팅, 문화예술 공간 조성 등 상권 활성화에 필요한 예산을 4년간 최대 40억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상인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민간 주도형 상권 자치 거버넌스인 ‘상권진흥협의회’를 운영한다.

‘혁신시장’은 전통시장의 불편하고 낙후됐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 지역민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을 만드는 것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2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시장 1곳당 5억 원씩을 투자해 특화상품, 서비스, 관광자원 등 전통시장 특화요소를 발굴·개발하고 서비스혁신 등을 통해 자생력 제고를 지원한다. 특히 고객 신뢰회복과 가격·원산지 표시 강화, AS, 위생·청결 등 서비스 혁신과 상인조직역량 강화로 ‘가고 싶은 전통시장’으로의 변모를 꾀하게 된다.

이와 함께 ‘경기공유마켓’은 전통시장·골목상권·5일장 등과 연계된 장소에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누구나 판매자(Seller)로 참여할 수 있는 ‘공유 상업공간’을 조성한다. 지난해 2곳을 선정한 데 이어 올해 10곳을 신규 지정한다. ‘공유마켓 사업단 및 매니저’를 통해 주민, 협동조합, 농업인, 푸드트럭 등과 함께 신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품목들과 프로그램을 발굴·다변화하고 상인과 주민이 어울리는 커뮤니티 조성으로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시장 1곳당 최대 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 관계자는 “전통시장과 주변상권의 고객유입을 촉진하는 특화 요소를 발굴하고 지역주민과 상인, 소비자가 한데 어우러진 ‘장터’의 공유 기능을 살려 골목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