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7일 새해 국정운영 기조를 담은 대국민 신년사를 밝힌다. 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상생도약’과 ‘확실한 변화’를 양대 축으로 민생경제의 성과를 강조하면서 권력기관 개혁과 공정사회 개혁을 의지를 표명할 것으로 관측된다. 또 경색된 한반도 정세에 관련해 그동안 제시해온 ‘행동’에 대한 구체적인 메시지가 담길지도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오전 9시 30분 TV 생중계로 국민에게 올해 국정운영 방향이 담긴 25분가량 분량의 신년사를 내놓을 예정이다.
신년사에는 올해 분야별 국정운영 목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한반도 평화와 검찰개혁 등 국정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국민의 삶이 나아져야 국정 동력도 확보된다는 판단에 따라 경제활력 제고에 방점을 찍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가 지난 2일 정부 합동신년인사회 장소로 대한상공회의소를 택하고, 3일에는 사실상 새해 첫 현장 행보로 수출의 최일선인 평택·당진항을 찾은 것에서부터 이러한 기류가 읽힌다.
이처럼 ‘혁신적 포용국가’의 틀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온 문재인 정부는 집권 4년차에 접어들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문 대통령의 경제 정책은 한층 더 속도감 있고 적극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2일 신년 인사에서 “새해에 우리가 이뤄내야 할 새로운 도약은 ‘상생 도약’”이라며 “상생 도약을 위해 새해에는 특히 경제 혁신에 더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새롭게 던진 화두인 ‘확실한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담길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2일 ‘확실한 변화’를 언급하면서 권력기관 개혁과 공정사회 개혁에 방점을 찍어 집권 후반기에도 국정 운영 기조를 크게 바꾸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문재인 정부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메시지도 관심사다. 특히 동북아철도공동체 구상 등 ‘평화 경제’에 대한 구상이 신년사에 들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