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6일 국정운영 후반기를 맞아 효율적인 국정 보좌 및 국정과제 추진동력 확충하기 위해 청와대의 조직 및 기능을 일부 재편하고 비서관 인사를 단행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현행 비서실·정책실·안보실의 3실장 12수석 49비서관 체제를 유지하되 업무분장을 효율화하기 위해 일부 비서관의 업무·소속을 조정한다”면서 “핵심 국정과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비서관 및 담당관을 신설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우선 디지털혁신비서관과 3곳에 담당관이 신설된다. 새롭게 신설되는 담당관은 국민생활안전담당관, 소재·부품장비산업담당관, 방위산업담당관 등이다.
또 기존 국정운용기조를 수립하고 기획하는 연설기획비서관을 기획비서관으로, 국정 전반 상황 및 동향 파악하는 국정기획상황실을 국정상황실로 바꿨다.
기획비서관에 오종식 연설기획비서관(50)을,청와대 국정상황실장에 이진석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비서관(49) 을 각각 내정했다. 윤건영 국정상황실장은 총선 출마를 위해 청와대를 떠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통상비서관에서 신남방·신북방비서관으로 바꾸고 경제수석실 산하에서 경제보좌관 산하로 이관했다. 이번에 신설된 신남방·신북방비서관에 박진규 대통령비서실 통상비서관(54)이 내정됐다.
아울러 산업정책비서관을 산업통상비서관으로 이름을 바꾸고 통상 업무를 산업통상비서관으로 이관했다. 문 대통령은 산업통상비서관에 강성천 통령비서실 산업정책비서관(56)을 발탁했다.
또한 무정책조정비서관과 일자리기획비서관을 합쳐 일자리기획ㆍ조정비서관으로 재편됐다. 일자리기획ㆍ조정비서관에 이준협 대통령비서실 일자리기획비서관(51)이 내정됐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