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송도역 복원 표류… 연수구·도시개발조합 ‘네탓 공방’

區, 근대문화유산 부활 청사진
2021년까지 문화공원 복원 계획
부지 밖 전차대·물탱크가 불씨
구청 “원안대로” vs 조합 “무책임”

옛 송도역사 복원사업이 인천시 연수구와 도시개발사업 조합의 ‘네 탓 공방’으로 늦어지고 있다.

7일 구에 따르면 옛 송도역사는 1937년 개통해 수인선과 함께 만들어져 유일하게 자리를 지켜온 기차역으로, 1994년 폐선과 함께 문을 닫았다.

구는 옛 송도역사의 가치를 살리고 문화관광벨트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8년 36억원을 투입해 옛 송도역사 일대(28만8천351㎡)를 2021년까지 복원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2019년 2월부터 ‘구 송도역사 복원사업 추진위원회’를 열고 방향을 논의해왔다.

그러나 2019년 6월 복원 부지 일부를 두고 송도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조합과 갈등이 빚어진 후 지금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당초 계획한 2021년 복원이 불투명하다.

예정대로라면 송도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조합이 조성·기부하는 문화공원 부지 안에 옛 송도역사 시설을 모두 포함해야하지만, 2개 시설이 공원부지를 벗어나면서 논란이 시작했다.

옛 송도역사 시설 중 전차대(차량 운행방향을 바꾸는 철로 장치)와 물탱크는 공원부지가 아닌 도시개발사업 부지에 있어 공원 안으로 이전해 복원하거나 문화공원 면적을 조정해야한다.

구는 원래 위치 그대로의 옛 송도역사를 살리기 위해 공원 면적을 변경하자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전차대와 물탱크 위치를 옮겨서 복원하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주민 반발이 거세 원안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협의 결과에 따라 옛 송도역사가 들어설 문화공원의 면적도 달라지기 때문에 사업 진행을 위해 협의가 필요하지만, 조합측이 상황을 해결하거나 구체적인 입장을 주지 않아 구에서도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조합에서는 구가 직접 인가를 내준 토지에 대해 아무런 보상 없이 자체 해결을 요구한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도시개발사업 초기 환지(사업시행자가 토지를 매입하지 않고 목적에 맞게 변경해 원래 소유주에게 주는 것)계획 인가를 내준 구청이 구 사업 때문에 일방적으로 다시 환지를 취소하라는 건 무책임한 처사”라고 했다.

이어 “공원부지 조정으로 돌려받을 땅이 사라지는 조합원 9명에게 일체 보상도 없이 갑자기 나가라고만 하니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