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채 및 회사채 발행이 크게 증가하면서 채권 발행규모가 전년대비 9.1% 증가한 686조 8천억 원을 기록했다.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나재철)는 13일 ‘2019년 장외채권시장 동향’을 발표하고 이 같이 밝혔다.
금리는 미 연준 및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 미중 무역분쟁 지속, 경기침체 우려 및 채권시장 수급 불안 등으로 등락이 반복되는 변동성 장세를 보이며 전년대비 큰 폭 하락했다.
상반기 채권금리는 대내외 통화정책 이슈 및 글로벌 금리 흐름에 연동돼 초반 박스권을 유지했으나, 2분기중 미중 무역협상 및 금리인하 기대감 등의 영향을 받아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하반기에는 미중 및 한일 무역갈등, 경기둔화 우려, 한은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금리는 8월 최저치(국고3년 기준, 8.19, 1.093%)를 기록, 이후 수급 우려 및 대외 불확실성 완화 기대감 등으로 하락폭을 일부 되돌리며 마감했다.
채권 발행규모는 전년대비 57조 1천억 원(+9.1%) 증가한 686조 8천억 원을 기록했다. 정부의 확장재정 기조 및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기업 자금조달 증가 등으로 국채 및 회사채 발행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채는 전년대비 51조 6천억 원(+45.0%) 증가한 166조 1천억 원, 통안채는 17조 8천억 원(-11.1%) 감소한 142조 1천억 원 발행됐다.
금융채는 전년대비 1조 3천억 원(+0.7%) 소폭 증가한 192조 4천억 원 발행됐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예대율 규제 강화, 안심전환대출(MBS 매입) 등이 은행채 발행 제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금리하락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요 증가로, 특히 A등급 및 AA등급의 발행이 큰 폭으로 늘면서 회사채는 전년대비 12조 원(+15.1%) 증가한 91조 7천억 원 발행됐다.
지난해 채권 잔액은 2천17조 2천억 원으로 지난해 1천907조 7천억 원 대비 109조 5천억 원 증가했다.
전체 수요예측 참여금액은 장단기 금리 역전으로 캐리수요가 크레딧물로 집중되면서 전년대비 46조 5천억 원 증가한 151조 2천억 원, 참여율은 전년대비 65.1%p 증가한 398.9%를 기록했다.
장외 채권 거래량은 금리 하락, 발행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동성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141조 3천억 원(-3.0%) 감소한 4천621조 8천억 원을 나타냈다.
지난해 CD 발행금액은 예대율 규제 강화로 시중은행의 발행이 증가하면서 총 30조 1천억 원(총 232건)으로 전년대비 큰 폭 증가(+8조 8천억 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