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재 의원(자유한국당·인천 서구갑)이 인천시의 경인고속도로(미추홀구 용현동~서구 가좌동) 일반화 사업 중 일부 구간 지하화 결정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 의원은 14일 오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남춘 시장의 방식대로 사업을 추진하면 사업 자체가 원점으로 돌아가 몇 년이 걸릴지 예측조차 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유정복시장 재임 당시 2018년 일반화사업에 착공해 도로개량사업을 2021년에 마치겠다고 발표했다”며 “그런데 박남춘 시장으로 바뀌자 2021년까지 완공하겠다던 도로개량사업을 2023년으로 연기했고,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에겐 아무 설명이 없었다”고 했다.
이 의원은 “안상수 전 시장은 서인천IC~가좌IC 지하는 고속도로, 지상은 일반도로로 만들겠다며 4천500억원의 예산을 책정했지만, 송영길 시장으로 바뀐 후 사업비가 1조2천억에 달한다며 일반화 사업을 폐기했다”고 전제했다.
이어 “19대 대통령 선거에 일반화사업을 포함해 2021년 도로개량을 마치기로 했는데, 또다시 박 시장으로 바뀌면서 사업계획이 달라졌다”며 “박 시장이 하겠다는 방식은 2009년 안 전 시장이 추진하려다 2011년 송 전 시장이 폐기한 방식인데, 대표적 도시재생사업이 시장 교체로 손바닥 뒤집듯 해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현재 시는 지하와 지상에서 도로공사를 할 경우 사업비를 7천560억원으로 책정하고 있는데, 송 전 시장이 1조 2천억원이 든다며 폐기한 사업을 10년이 지난 지금 7천560억원이면 추진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국토부의 혼잡도로 지정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등이 통과할지 알 수 없고, 통과한다해도 준공까지 몇 년이 걸릴지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사업이 표류하면 인천대로변 개발과 재생사업도 표류하고 주민 재산권도 침해받는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지하도로 사업은 일반도로 사업과 분리해 추진하고, 인천대로변을 업무·상업용으로 지정해 도시 중심서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인고속도로는 2017년 12월 일반도로로 변경돼 도로 관리권이 인천시로 옮겨왔다. 이후 시는 이 도로 명칭을 인천대로로 바꿨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