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 논란…공공 이전 현실화 '당장'은 불가능, 체계 재설계 해야

▲ 지난해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참고인으로 출석한 이국종 아주대 의대 교수

권역외상센터를 공공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현장, 이송, 치료 등의 단계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역외상센터를 공공으로 당장 이관하는 게 쉽지 않은 만큼, 센터 관리와 이송 체계 등 전체적인 체계를 재설계 해야 한다는 것이다.

18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권역외상센터는 개원을 앞둔 4개소를 포함해 총 13개 센터가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중 공공이 운영하는 곳은 센터 개소를 앞둔 국립중앙의료원 한 곳뿐이다. 지난 16일 이국종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장이 이재명 경기지사를 비밀리에 면담한 것으로 확인돼 일각에선 경기도의료원 등 공공병원으로 센터를 이전하는 방안 등도 제기된다. 하지만, 상급종합병원급의 의료 시스템이 필요한 점을 고려하면 현 상황에선 불가능하다.

도의료원 관계자는 “국내에 심뇌혈관 센터를 갖춘 곳은 많지만, 아주대학교병원처럼 실질적인 중증외상환자를 치료하고 시스템을 갖춘 곳은 없다”며 “상급종합병원급의 시스템과 인력, 전문역량 등이 대규모로 갖춰져야 해 현재 구조의 의료원이 맡는 건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경기도 공공의료팀 관계자 역시 “권역외상센터는 전문역량이 필요한 곳인데다 인력, 협업체계 등 시스템 등을 구축해야 해 도의료원이 맡은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올해 지정 예정인 지역책임의료기관을 공공에서 맡아 권역외상센터로 투자하는 방안도 제기된다. 민간에서 할 수 없는 필수의료를 공공으로 전환하는 것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지역책임의료기관을 전국 15개소를 지정해 권역-지역-기초 공공의료를 연계하도록 할 계획이다. 도의료원 관계자는 “지역책임의료기관을 도의료원 등에서 맡아 지역거점 의료기관으로 크게 확충되면서 시스템과 자본을 집중적으로 투자한다면 그림을 그려볼 순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차원에서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새롭게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경증과 중증 환자의 정확한 분류ㆍ이송과 권역 내 응급 환자 이송 단계를 설계해 병상 쏠림 현상을 막을 필요도 있다. 이 교수와 아주대병원 고위층 사이의 갈등 원인 중 하나는 병상 배정 문제다. 이는 다른 권역외상센터에서도 겪는 일로 알려졌다.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병원 인지도가 높다 보니 모든 외상환자들이 몰려 병상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전체 1천187개 병상 중 외상센터가 100개 병실, 집중치료실 등 특실병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40여 개과가 755개 병상을 20여 개씩 나눠쓴다”고 말했다.

서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자원연구부 주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HIRA 해외정책 동향’에서 그동안 외상센터 설립 등 인프라 확보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외상센터의 관리, 평가체계, 예방 가능 외상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본격적인 단계를 밟아야 할 시기라고 지적했다. 서 주임연구원은 “외상시스템의 최종 목표는 외상환자를 적정 의료기관에서 적시에 치료해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라며 “권역외상센터, 병원 전단계, 지방자치단체 등의 유기적인 협력 아래 정부가 현장, 이송, 치료, 재활, 예방 등 모든 단계가 체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