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의회가 강력한 범시민 궐기투쟁을 선언하며 70년 국가안보 희생에 대한 정부의 특별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시의회는 지난 17일 제289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열고 ‘미군 공여지 조기반환과 동두천에 대한 특별지원’을 촉구하는 대정부 결의문을 전격 발표했다.
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동두천 내 모든 미군공여지 당장 반환 ▲환경치유ㆍ공여지 개발비용 일체 정부가 책임질 것 ▲주둔 미군 감소로 빈사상태에 빠진 지역경제를 살려낼 ‘동두천지원특별법’ 즉각 제정을 요구했다.
시의회는 “70년간 도시 면적 절반을 미군에 내주며 대한민국 경제성장과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했으나 미군들이 빠져나간 빈자리에는 폐업의 눈물과 불황의 한숨만 남았다. 낙후의 상징, 기지촌의 오명은 그대로인 채 경제는 파탄나고 인구 감소도 가속화 돼 도시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벼랑 끝 상황으로 참을 만큼 참았다! 얼마나 더 참으라는 것인가”라고 분개했다.
특히 “미군기지가 옮겨가는 평택은 특별법 제정으로 정부가 18조 8천억 원을 전폭 지원한 반면, 동두천에는 5분의 1도 안 되는 국비만 지원하겠다는 발상에 허탈을 넘어 좌절감마저 느낀다”며 “노른자 땅인 캠프호비는 반환치 않고 최근 뒤늦게 반환이 결정된 캠프 호비 쉐아 사격장은 산속에 처박힌 활용가치조차 없는 땅이다”고 규탄했다.
이어 “국가를 위한 헌신과 희생에는 눈물 흘리지 않도록 예우를 다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하며 “국토방위의 최일선에서 헌신해온 동두천은 지역적으로 보훈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는 또 “특별한 희생에 마땅히 주어져야 할 보상 요구는 정당하고 당연한 권리로 이제 대한민국이 실망과 분노의 한계를 넘어선 9만 5천 동두천시민의 생존권을 책임지고 살려내야 한다”며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보다 강력한 범시민 궐기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의회는 이번 결의문 채택과 관련, 다음달 1일부터 15일까지 범시민서명운동을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동두천=송진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