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앞두고 본격적인 민심 잡기에 나선다. 설 민심이 4·15 총선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여야 모두 메시지를 다듬는 데 집중, ‘프레임 대결’이 펼쳐질 전망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선거제·검찰 개혁 등 개혁입법 성과와 민생 정당의 모습을 부각할 예정인 반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정권심판론을 내세울 계획이다.
민주당은 ‘민생’을 설 연휴 키워드로 꼽고 있다. 앞서 민주당은 ‘4+1’ 협의체 공조를 통해 선거제 개혁을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안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 등 검찰개혁 법안을 처리했다.
또 ▲유치원 3법 ▲데이터 3법 ▲어린이교통안전강화법 ▲소방관 국가직 전환법 등 민생·경제 법안의 처리를 이끌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이 개혁과 민생을 책임져온 ‘역량을 갖춘 여당’이라는 점을 강조, 제21대 총선까지 지지세를 이어간다는 각오다.
민주당은 1차 공약으로 ‘무료 와이파이 전국 확대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설 전 민생과 관련한 2차 공약을 밝힐 계획이다. 아울러 민주당 지도부는 설 연휴 전날인 오는 23일 서울 용산역에서 시민들에게 민주당 입법 성과 등이 담긴 홍보 팸플릿을 나눠주며 귀성 인사를 한다. 6년여 만에 여의도로 복귀, 당 상임고문을 맡은 이낙연 전 국무총리도 귀성길 인사에 참여한다.
이에 맞서 한국당은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강조, 보수 지지층의 결속을 다진다. 한국당은 설 전 민생과 관련한 공약을 집중 발표, 정권 심판론을 띄우겠다는 구상이다.
한국당은 앞서 문재인 정부 실정과 관련, 재정 건전성 강화와 탈원전 정책 폐기, 노동시장 개혁 등을 1호 공약으로 내놨다. 이어 공급 확대 및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하는 주택공약, 자립형사립고(자사고)·외고 폐지정책을 되돌리는 교육 공약도 발표했다.
이와 함께 한국당은 정권 심판론의 ‘붐업’을 겨냥, 설 연휴 전 황교안 대표의 신년 기자회견을 준비 중이다. 설 연휴 기간 보수통합 논의를 비롯한 정계 개편 등이 화두가 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설 전에 보수통합의 큰 그림을 만들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중도·보수 통합을 지향하는 혁신통합추진위원회와 한국당과의 ‘당 대 당’ 통합을 주장하는 새로운보수당 간 간극이 있어 한국당의 조율 여부가 주목된다. 또한 정계에 복귀한 바른미래당 안철수 전 의원와의 관계 설정도 관심을 끈다.
황 대표 등 당 지도부는 오는 23일 서울역에서 귀성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김재민·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