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신규 중고차 수출단지인 스마트오토밸리 인근에 문화, 관광시설도 조성, 중고차 수출 업계, 민원 등 우려.

“인천에서 중고자동차 수출일을 더 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인천 송도 중고차수출단지에서 매집상을 운영하는 A씨(53)는 최근 사업장을 평택항으로 이전할지 고민 중이다.

오는 7월 일몰제 적용으로 사업장을 인천항만공사(IPA)가 추진하는 스마트 오토밸리(중고차 수출단지)로 옮기려 했지만, 인천시가 그 일대 지구단위계획 방안을 발표하면서 또다시 표류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A씨는 “최근 시가 발표한 지구단위계획 방안이 부지 주변에 관광시설 등을 만들고 화물차 통과도 최소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주민 반대 등으로 사업이 예정대로 추진될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인천지역 중고차 수출 단지를 새롭게 조성하려는 사업(스마트 오토밸리)을 IPA가 추진하고 있지만, 최근 시에서 사업 대상지 주변인 중구 항동 일대 지구단위계획 수립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하면서 지역 중고차 수출 업체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9일 인천시와 IPA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3일 2021년 1월까지 하는 ‘중구 항동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통해 제1국제여객터미널 이전부지에 문화·관광·공공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도록 했다. 또 항만 진·출입 대형화물차량의 주거지 통과 최소화 등도 검토했다.

현재 약 55만㎡에 달하는 인천 송도중고차수출단지에는 총 560여개의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7월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적용으로 더 이상 이 부지를 사용할 수 없다. IPA가 추진하는 스마트 오토밸리가 유일한 대안인 셈이다.

하지만, 항만업계 등은 사업을 시작하기도 전에 부지 주변이 지구단위계획으로 묶여 사업 추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 이 과정에 시가 IPA나 자동차수출업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만 하는 등 전형적인 탁상행정을 펼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 중고자동차 실적이 2019년 40만대를 넘어서는 등 사상 최대치를 돌파한 만큼, 시가 이 사업을 시 주요 산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며 “특히, 자동차 수출업체가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앞으로 사업 추진에 필요한 IPA의 세부적인 의견을 듣고, 논의 하겠다”고 밝혔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