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신익과 심포니 송이 베토벤 최고의 걸작 <장엄미사>로 다음 달 23일 예술의전당에서 2020 마스터즈 시리즈의 포문을 연다. 베토벤 음악의 감동과 유산의 집합 곡이기도 곡을 통해 베토벤 탄생 250주년의 의미를 제대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베토벤의 초상화로 알려진 그림에서 그가 손에 쥐고 있는 악보가 바로 <장엄미사(Missa Solemnis)>다. 베토벤은 <장엄미사>를 그 스스로 ‘나의 최대의 작품’이라고 여러 차례 언급했다. 그는 평생의 은인이었던 루돌프 대공의 즉위식을 위해 이 미사곡을 쓰기 시작했으나, 이 작품은 규모나 작곡의 완성에 필요한 시간이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대작이 되며 4년에 걸쳐 완성하게 된다.
흔히, 베토벤 이전의 작곡가들이 궁정이나 교회에 재직하며 많은 수의 종교음악을 남긴 것에 비해 프리랜서로서 활동했던 베토벤의 종교음악은 적다. 그의 몇 안 되는 종교음악은 자발적인 작곡이었다는 점에서 그 작품의 메시지에 더욱 주목할 만하다. 특히 <장엄미사>는 베토벤이 청력을 상실하고, 조카 카를을 두고 벌어진 후견인 문제를 두고 다투는 등 그 어느 때보다 가장 힘들었던 시기에 작곡됐다. 음악으로 고통을 승화하는 베토벤의 위대한 정신이 가장 깊게 녹아있다.
곡은 키리에(Kyrie)-글로리아(Gloria)-크레도(Credo)-상투스(Sanctus)-아뉴스 데이(Agnus Dei)로 이어지는 미사 통상문의 순서를 따라 이뤄져 있다. 작품이 지닌 대규모 편성과 긴 연주시간(1시간 30분), 베토벤 자신의 음악 세계와 그의 ‘범신론’적 종교관이 내포돼 있어 통상문을 사용한 성악과 기악의 거대한 교향곡으로 간주된다.
함신익이 지휘를 맡고, 최고 수준의 솔리스트인 소프라노 박하나, 메조소프라노 김선정, 테너 신상근, 바리톤 김기훈이 함께 무대를 꾸민다. 국립합창단(예술감독 윤의중)도 협연한다.
심포니 송 관계자는 “<장엄미사>는 작품의 규모와 깊이로 쉽게 무대에 올릴 수 없는 작품”이라며 “베토벤의 위대한 업적과 함께 그의 음악적 유산을 살펴보고자 시작하는 함신익과 심포니 송의 2020년 마스터즈 시리즈의 심도 있는 연구 자세와 그 진지함의 정도를 보여주는 선곡”이라고 말했다. 티켓은 R석 10만원, S석 7만원, A석 5만원, B석 3만원, C석 2만원이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