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유입된 가구에서 4곳 중 1곳은 경기도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터전을 떠나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에 정착한 이유로는 주택, 직업 등이 주로 지목됐다.
경기연구원은 20일 이 같은 내용의 ‘경기도 가구 이동과 유입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를 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순 이동 가구 수에서 2018년 기준 6만 5천633 가구가 수도권으로의 순 전입된(225만 7천 전입, 219만 2천 전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경기도는 1만 5천320가구(24%), 서울시는 4만 9천575가구(75%), 인천시는 738가구(11%)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왕래(10%)보다는 수도권 간 전입ㆍ출이 대다수(90%)를 차지했다.
경기도 유입 가구 특성에서는 1인 가구 이동 비율이 54.9%로 높게 나타났다. 유입 가구주 연령대는 30대, 40대, 50대 순으로 중장년층 가구 이동이 많았다. 이동 사유로는 주택, 직업, 가족, 교통 순이다. 1인 유입 가구의 경우 주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직업 비율이 높다. 유입 가구주의 연령별 이동 사유를 살펴보면 20대의 경우 직업, 주택, 가족 순이다. 30대 이상은 주택, 직업, 가족,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주택 비율은 높아지고 직업 비율은 낮아지는 현상이다.
연구를 수행한 이외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구주와 가구 구성원 특성에 따라 이동이 결정되기 때문에 인구이동을 가구 단위로 살펴보면 도시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며 관련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청년층과 노년층 비율이 높은 1인 가구 특성을 고려한 주택 정책 ▲20대 이동 사유를 고려해 젊은 층 유입을 위한 정책 ▲서울 인접도시의 30~40대 유입 특성을 반영한 주거 및 교육환경 조성 ▲50~60대 이상 고령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고령친화사회 조성 등을 강조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