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경종 道 청년비서관 “경기도 청년 정책 체감도 높이겠다”

매주 청년들의 애로·건의사항 수렴
이재명호 정책 시행계획 수립 힘써
면접수당 등 시민 관심도 향상 앞장

“경기도 청년 정책이 ‘그림의 떡’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청년이 정책 혜택을 체감할 수 있어야 합니다.”

106대 1의 경쟁률을 뚫고 경기도 최초의 청년비서관(5급 상당)으로 채용, 석 달가량 업무를 수행 중인 모경종 비서관의 다짐이다. 지난해 10월 학력ㆍ경력 등을 전혀 보지 않은 ‘노 스펙 전형’으로 공직에 입문, 그 실력과 역할에 의문을 품은 사람도 초기에 더러 있었다. 그러나 모 비서관은 현재 이재명 호(號)의 청년 정책 설계에서 자기 몫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재명 도지사가 모 비서관의 임용일 당시 그에게 부여한 특명은 ‘청년의 목소리를 들어라’였다. 이에 모 비서관은 매주 1회 이상 도내 시ㆍ군 청년정책위원회를 찾아 애로사항과 정책 건의 사항을 수렴하고 있다. 경기도 청년정책위원회, 각종 청년 행사까지 포함하면 하루 24시간이 모자라다.

의견 수렴뿐만 아니라 정책 설계ㆍ시행 단계에서도 분주하다. 요즘에는 경기도 청년정책관, 도청 관련 부서와 함께 새해 정책들의 세부 시행계획 수립을 위해 중간 중간 머리를 맞대고 있다. 특히 다음 달에는 그가 아이디어를 일부 제공한 ‘(가칭)경기청년포털’이 시범 개시함에 따라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는 청년들의 거주, 직업 등에 따라 맞춤형 정보를 받을 수 있는 통합 정보망이다.

이처럼 빠른 적응력을 보이는 모 비서관을 두고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지만, 그는 “전형적인 ‘99% 일반 청년’일 뿐”이라고 미소 지었다. 채용 이전까지 모 비서관은 30대 초반의 평범한 취업 준비생이었다. 흔히 말하는 ‘청년 활동가’, ‘청년 정치인’과도 거리가 멀다고 손을 저었다. 다만 그는 “청년의 삶을 실제로 겪다 보니 청년 정책을 누구보다 이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서울 소재 한 대학교를 나와 월세 생활하며, 방값ㆍ밥값ㆍ아르바이트 걱정 등 주거와 일자리 문제로 골머리 앓던 청년 중 하나였다.

이 때문에 모 비서관은 현 청년 정책의 맹점을 날카롭게 꼬집었다. 청년 정책이 제도권에서 없는 것은 아니지만, 관심이 부족하고, 실제 수혜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 비서관은 “이재명 도지사의 청년 정책들도 밖에서 볼 때와 달리 청년면접수당 등 의미 있는 정책이 많이 있다”며 “이재명 지사의 임기와 제 임기가 같은데, 그동안 ‘경기도 청년 정책’에 대한 292만 경기 청년의 관심을 키우는 게 제 사명이라 생각한다. 명절마다 어깨가 움츠러드는 청년들이 설을 앞두고 활짝 웃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