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사상 처음 60㎏ 아래로 떨어지는 등 가구 내 쌀 소비량이 크게 감소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를 보면 ‘2019 양곡 연도’(2018년 11월 1일∼2019년 10월 31일)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9.2㎏으로 전년보다 3.0%(1.8㎏) 줄었다.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60㎏ 아래로 내려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30년 전인 1989년 소비량(121.4㎏)의 절반 수준이다.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970년 136.4㎏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 추세를 이어오고 있다.
2019 양곡 연도의 가구 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 역시 162.1g으로 전년보다 3.1%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임을 고려하면 하루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
작년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사업체 쌀 소비량) 역시 74만 4천55t으로 전년보다 1.5%(1만 2천t) 줄었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쌀 소비량 감소율이 확대(재작년 1.3%→작년 3.0%)된 것은 식사 대체용 가공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공익 직불제 개편ㆍ정착을 통해 쌀 적정 생산을 유도하고 쌀 소비 촉진 지원을 확대해 중장기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