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금융권, 올해 첫 회계개혁 정착지원단 회의
금융당국이 회계개혁의 시장 안착을 위한 회의를 열고 앞으로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금융권은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리에 대해 당분간 계도 중심 감독을 금융당국에 요청했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거래소 등은 올해 첫 회계개혁 정착지원단 회의를 3일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개최하고 회계개혁 진행상황과 향후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금융위는 기업들이 의견불일치 조율절차를 충분히 알고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게 한국상장사협의회·코스닥협회·금융투자협회 측의 적극적인 홍보를 요청했다. 한국거래소는 비적정 감사의견과 관련한 동향을 공유했다. 금융위는 시장에서 비적정 감사의견 증가 우려가 있는 만큼 거래소가 관련 동향을 자세히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과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공유할 것을 요청했다.
금감원은 감사인 지정(주기적+직권)과 관련한 감사계약 체결 동향 등을 보고했다. 특히, 감사계약 체결기한의 탄력적 운영, 감독당국의 지정계약 실태점검 등으로 지난 11월 감사인 지정을 통지한 823사 중 98.7%(812사)가 감사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총 39개 회계법인이 상장사 감사인으로 등록됐으며, 다른 회계법인(총 4개)에 대해서도 등록심사가 진행 중이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코스닥협회·금융투자협회는 최근 회계현안 및 기타 이슈들에 대한 현장 의견을 개진했다. 상장기업 감사 보수공시, 내부회계관리제도, 표준감사시간 등과 관련한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감리와 관련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당분간 계도 중심 감독을 금융당국에 요청했다.
관계기관은 회계개혁 과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첫해 감사기간인 만큼, 관련 현안에 대한 적극 대처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깐깐해진 외부감사로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아 시장에서 퇴출당하는 기업이 발생하는 것은 회계개혁에 따른 ‘건강한 성장통’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라면서 “선의의 피해기업은 없도록 거래소 차원의 모니터링과 함께 관계기관 간 정보공유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