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재정 변화 휘몰아치는데…1천300만 경기도 대응인력은 고작 1명

▲ 경기도청 전경

정부의 재정 분권 정책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경기도 재정 구조가 뒤흔들리는(본보 1월 13일자 1면) 가운데 이를 대비할 경기도 대응 인력은 고작 1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및 주요 변수 발생시 대책 마련을 위해 경기도 차원의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청에서 중앙의 재정 분권 대응 및 세제 개선 담당 인력은 세정과 1명(6급)이 전부다. 이마저도 ‘도세 관련 조례 운영’이 주 업무로 배정, 도 차원의 주도적 움직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같은 인력 규모(1명)는 서울시와 비교시 8분의 1 수준이다. 서울시는 전담팀을 조직, 8명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현재 도의 인력 1명이 떠맡아야 할 과제를 보면 우선 ‘국세의 지방세 이양’이 있다. 각종 업무가 지방으로 이관되는 가운데 이에 따른 재정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아울러 스포츠 토토를 지방세 과세 대상으로 추가하는 등 레저세 확충도 지역 재정을 1천억 원 이상 늘려줄 것으로 예측된다. 이외 부동산을 비롯한 주요 세입 변수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도의 이러한 조직 정체는 최근 여러 변수에 대한 대응력 부족으로 나타나 지방 재정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핵심 재정 기조로 ‘재정 분권’을 표방, 지방소비세율 인상 등 수많은 지방 재정 제도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지방 재정의 핵심인 취득세 징수액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도 지방소비세는 전년 대비 51%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전체 예산에서 비중도 7.2%에서 9.9%로 커진다는 분석이다. 반면 매년 가파르게 몸집을 불리던 취득세는 전년 대비 1.9%(1천300억여 원)만이 증가, 사실상 증액되지 않을 전망이다. 전체 예산에서 비중도 지난해 32.2%에서 올해 29.2%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 (가칭)세제개선팀 신설을 위해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해당 조직이 구성되면 지역 재정 구조 대응뿐만 아니라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비주거용 부동산 공시제도 연구ㆍ제도 개선 등 이재명 도지사의 핵심 정책ㆍ사업을 지원하는 역할도 부여할 예정”이라며 “올 하반기 조직개편 추진 과정에서 신설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도의 전문 인력 외 지방세 담당 인력 전체도 서울시보다 턱없이 부족하다. 1천364만 명 인구ㆍ24조 1천억 원 지방세 징수액을 자랑하는 도는 지방세 조직이 2과ㆍ13팀ㆍ85명이다. 972만 명 인구ㆍ23조 5천억 원 지방세 징수액을 품은 서울시(3과ㆍ16팀ㆍ122명)보다 37명이 적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