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동물위생시험소 ‘유용미생물’, 생산성 향상·악취 저감 효과

▲ 동물위생시험소 생산 ‘유용미생물’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가 생산한 ‘유용미생물’에 대해 도내 농가 10곳 중 9곳이 생산성 향상과 악취 줄이기에 높은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11일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에 따르면 지난 2019년 한 해 시험소의 유용미생물을 활용한 도내 17개 시ㆍ군 소재 농가·브랜드·축산시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가 긍정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향후 유용미생물 생산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지난 1월 중 전화 또는 해당 농가·시설을 직접 방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모두 354곳이 응답했다.

유용미생물의 사용 효과에 대해 ‘매우 효과 있다’가 48곳(14%), ‘효과 있다’ 268곳(76%) 등 모두 316곳(90%)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만족 이유에 대해 복수 응답자 555곳 중 ‘생산성 향상’이 289곳(52%)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질병감소 177곳(32%), 악취 줄이기 89곳(1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증체율 증가, 폐사율 감소, 사료비 절감, 사료섭취율 증가, 유량증가 등의 효과를 본 것으로 확인됐으며 공급기간이 2년 이상 길수록 농가 만족도도 동반 상승했다.

경기도동물위생시험소는 직접 생산한 유용미생물(EM) 5종(광합성균, 유산균, 고초균, 효모, 혼합균 등)을 매년 도내 축산농가 및 축산시설 등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6년 113t에서 2017년 203t, 2018년 340t으로 공급량을 점차 확대해왔다.

지난해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전 두수 살처분 돼지농가, 악취 발생 민원이 잦은 도내 도축장 6곳, 과거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지역 및 영세·취약 농가 등 총 17개 시군 455곳(농가 333곳, 축산시설 21곳)에 351t을 공급했다.

시험소는 향후 분말유용미생물 ‘잘큼이(유산균)’을 비롯한 유용미생물 공급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생산능력 범위 내에서 공급을 최대한 늘리고 농가 현장기술지원 등으로 계속 보완할 계획이다.

이계웅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장은 “양질의 유용미생물에 대한 연구·개발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질병발생으로 어려움을 겪는 축산농가를 적극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유용미생물(EM : Effective Microorganism)은 생산성 향상, 성장촉진, 면역력증가, 악취감소, 질병예방 등 동물에게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