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올 한해 모태펀드 1조3천억원을 출자해 약 2조5천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투자는 13일 ‘2020년 모태펀드 출자 공고’를 통해 10개 부처가 역대 최대 예산 1조1065억원과 회수재원 1910억원을 포함해 총 1조2천975억원을 벤처펀드에 출자한다. 이를 통해 총 2조5천억원 이상의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올 한해 중기부는 역대 최고의 본예산 8천억원과 회수재원 1천억원으로 구성된 9천억원을 출자해 1조8천700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한다.
혁신기업의 창업단계를 지원하는 신생 벤처기업(스타트업) 펀드에 5천200억원을 출자해 9천2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하고, 창업 이후 후속성장을 지원하는 스케일업 영역을 강화하기 위해 혁신기업의 도약 단계를 지원하는 점프업 펀드에 3천800억원을 출자해 9천5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
이번 중기부 모태펀드 주요 출자 분야별 특징을 살펴보면 창업초기(4천800억원), 청년창업(1천100억원) 펀드가 대규모로 조성된다.
소재부품장비 펀드가 1천100억원 규모로 최초 조성된다. 이 중 600억원은 벤처캐피털이 투자대상을 사전에 확보하고 펀드를 조성하는 프로젝트 펀드로 조성된다.
규제 샌드박스 펀드도 500억원 규모로 신규 도입한다. 이 펀드는 규제 샌드박스 4법을 통해 규제특례를 받은 기업에 집중 투자하며 규제자유특구 지정 구역에서 지정 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도 투자 대상에 포함된다.
벤처캐피털이 발굴하고 투자한 R&D 수행기업에 동일한 조건으로 일대일 매칭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기존 제품을 일부 개선하는 수준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기술·제품을 생산하는 도전적 R&D 수행기업이 중점 투자 대상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올해 모태펀드를 통해 공급되는 2조5천억원 규모 벤처펀드가 최근 벤처투자 성장 동력이 지속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올해부터 점프업 펀드가 본격 조성되는 만큼 추가적인 유니콘 기업 탄생이라는 성공 사례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