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선거관리위원회(이하 부천선관위)가 부천시의 36개동이 10개의 광역동으로 통합에 따른 4ㆍ15총선에서의 사전투표소 추가설치에 대한 의견을 수렴(본보 12일자 인터넷 판 보도)를 받고서도 광역동 10개소에만 설치키로 결정,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투표율을 낮추려는 꼼수라며 강력반발하는 등 후폭풍이 거세다.
16일 부천시선관위와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등에 따르면 부천시선관위는 부천시가 36개 동을 10개 광역동으로 전환되면서 사전투표소가 36개소에서 10개소로 감소됨에 따라 각 정당으로부터 사전투표소 추가설치 의견서를 지난 7일까지 제출받았다.
현행 공직선거법 상 ‘읍·면·동마다 1개소씩 사전투표소를 설치 운영하도록 규정돼 있어 10개의 사전투표소가 설치되며 선거사무원의 수, 현수막 게첩 등이 축소된다.
이로인해 교통약자 등은 물론 사전투표를 원하는 유권자들이 사전투표에 참여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부천시민의 참정권 제한이 우려되어 왔다.
그러나 부천시선관위는 지난 13일 선거관리위원회 회의를 갖고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으로부터 사전투표소를 10개소에서 20개소로 늘려 달라는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공직선거법상 규정된 10개소에만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부천시선관위의 이같은 결정은 자유한국당 부천시 4개 당원협의회의 요구사항과 같은 것으로 알려져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정의당 총선 후보인 이미숙(원미을)ㆍ신현자(소사)ㆍ구자호(오정)예비후보는 지난 14일 성명을 내고 “선관위의 결정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다”며 “사전투표소 10개소 확정을 재고하라”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4개 지역위원회와 총선 예비후보들도 16일 국회의원회관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권자의 사전투표 참여를 어렵게 만들어서 투표율을 낮추려는 자한당의 얄팍한 꼼수와 부천시선관위의 행정편의주의가 만들어 낸 합작품”이라며 사전투표소 감축방침 철회를 강력히 요구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자체의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해 해당 시군구 선거관리위원회가 광역동 개편과 무관하게 사전투표소 수를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했으나 부천시선관위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