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0호 부부 이어… 31호 환자도 ‘코로나19’ 감염 경로 안갯속

“지역사회 감염 사실상 시작” 분석도

국내에서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이어 나오면서 지역사회로 감염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해외여행력이 없음에도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더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며 ‘새로운 국면’을 맞은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1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오전 해외여행력이 없는 61세 한국인 여성이 국내 31번째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환자는 대구 수성구 보건소에서 검사를 진행해 양성으로 확인, 현재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대구의료원)에 격리돼 치료를 받고 있다.

31호 환자 역시 29ㆍ30호 부부 환자와 마찬가지로 뚜렷한 감염원을 특정할 수 없는 사례다. 해외에 나간 적도, 국내 확진자와 접촉한 적도 없는 사람들이 잇따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며 지역사회 감염이 사실상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코로나19 발생이 국내에서도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했다. 이날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국내외 상황을 반영할 때 코로나19 발생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며 “국내에서 어제와 오늘 여행력이 없는 환자가 3명 나온 만큼 사례정의를 확대해 검사 시행하면 유사한 환자가 보고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원인불명 폐렴 환자를 선제적으로 격리ㆍ검사하고, 확진자의 접촉자를 격리 해제할 때 진단검사를 시행해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등 방안을 대응지침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또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유증상자를 1ㆍ2차 의료기관에서 진료할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내용도 담을 예정이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지역사회 전파 여부에 대한 판단은 역학조사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밝히기 어렵다”며 “중앙방역대책본부가 공식 판단을 하면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