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학시영아파트 1천300세대·연수시영아파트 1천세대 대상
대변기·세면대·욕조·창호 교체… 옥상 방수·계단 보수작업
인천시가 2020년 노후 공공임대주택 시설 개선을 위한 사업에 나선다.
18일 시에 따르면 인천도시공사와 함께 사업은 지어진 지 15년이 넘은 영구임대주택 2개 단지 25개 동에 대한 시설 개선을 추진한다. 이는 국토교통부의 ‘장기공공임대주택 입주자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에 따른 시설 개선사업 계획이다.
시는 선학동 347에 있는 선학시영아파트 19개 동 1천300세대와 연수동 582의2에 있는 연수시영아파트 6개 동 1천세대를 사업 대상으로 정했다. 선학시영아파트는 지난 1993년 6월, 연수시영아파트는 1992년 4월에 지은 각각 26년, 27년이 지난 영구임대주택이다.
사업비는 총 11억1천400만원으로 국비와 시비가 각각 50%다. 다만, 시가 2020년에 확보한 예산은 8억5천400만원에 그친다. 시는 나머지 2억6천만원 중 절반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확보하고, 나머지는 3월 국토부의 보조금으로 채울 예정이다.
시는 도시공사와 함께 화장실 대변기와 세면대, 욕조 등을 교체하는 욕실 환경 개선 사업과 창호(발코니) 교체 사업, 옥상 방수 사업, 외부 계단 보수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을 교체하는 사업 등을 한다. 또 공사 시작에 앞서 동 출입구 경사로 및 복지관 실태조사를 통해 개선공사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시는 오는 4월 설계 및 공사발주를 시작으로 5월 착공에 들어가 12월 준공한다. 이후 시는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의 소통을 통해 부족한 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시설개선사업은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장애인 등의 주거 취약계층이 주로 입주해 있는 공공임대주택의 주거 환경 개선이 가장 큰 목적”이라며 “앞으로도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는 등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현재 인천엔 15년이 넘은 인천의 공공임대주택 9개 단지가 있다. 이중 나머지 7개 단지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별도로 시설 개선 사업 등을 추진 할 계획이다.
김민‧김도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