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로봇랜드 주거 용지 반영 ‘백지화’

산업부 지속적인 반대에… 산업·상업 용지로 전환 추진
상가 등 활성화해 수익악화 최소화… 3월중 변경안 제출

인천시가 로봇랜드 내 아파트를 지을 수 있는 주거용지를 모두 없애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신 산업시설과 상가 등을 활성화해 자칫 떨어질 수 있는 사업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최근 로봇랜드의 부대시설 내 주거용지 6만6천115㎡를 산업용지와 상업용지 등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담은 토지이용계획 변경(안)을 마련했다. 부대시설을 제외한 로봇산업진흥시설, 유원시설, 기반시설 부지 등은 크게 바뀌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시가 이 같이 로봇랜드의 주거용지를 모두 빼는 이유는 그동안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속적으로 사업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시는 ‘㈜인천로봇랜드의 사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이유를 들어 토지이용계획에 주거용지를 포함시키는 내용의 토지이용계획을 산업부에 제출했지만, 산업부는 이를 승인해주지 않았다. 당초 로봇랜드 사업자 공모를 할 때 제시한 시설 기준에는 주거용지가 없었고, 경남로봇랜드에는 주거용지가 없어 형평성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산업부는 시의 주거용지를 없애고 산업용지를 늘리는 계획에 대해선 반대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시는 주거용지를 빼면서 발생할 수익 악화는 산업용지와 상업용지 등을 활용해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산업용지나 상업용지의 용적률 등을 일정부분 올려주는 방안이 대안으로 꼽힌다.

이 과정에서 시는 테마파크 등 유원시설 부지를 줄이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주거용지가 사라진 상태에서도 민간투자자가 당초 계획대로 테마파크를 조성할 수 있을지 따져봐야 하는 탓이다. 시는 곧 ㈜인천로봇랜드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시는 또 로봇랜드 공사비를 줄이는 방안도 추진한다. 로봇랜드 부지 내 토사 우선 반입을 추진, 전체 공사기간을 줄일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약 200억원의 공사비를 아낄 수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로봇랜드 기반시설 비용 부담 주체에 대한 논의에 나선다. 현재는 시와 ㈜인천로봇랜드와의 협약에 따라 기반시설비 약 1천억원을 시가 부담해야 한다. 시는 당초 주거용지를 포함시키고 기반시설을 ㈜인천로봇랜드가 책임지도록 했지만, 주거용지가 백지화하는 만큼 비용 부담 주체에 대해 재논의를 할 필요성이 있다.

시는 이 같은 방안에 대해 ㈜인천로봇랜드와 협의해 최종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후 시는 이르면 3월 중 산업부에 새로 만든 토지이용계획 변경(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미 주거용지를 없애는 방안 등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인천로봇랜드에 투자한 민간 투자자와 논의 중”이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협의를 통해 정확한 안을 정할 방침”이라고 했다.

정중식 ㈜인천로봇랜드 대표이사는 “주거용지를 빼는 것을 시와 논의 중인 것은 맞다”며 “주거용지에 상응하는 다른 용지를 확대하는 것 등 최적의 방안이 나올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