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이자 등으로 매달 105만원 빠진다…4분기 기준 역대 최대

세금이나 대출이자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빠져나간 가구 지출이 지난해 4분기에도 월평균 100만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다.

20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 규모는 1년 전보다 9.8% 늘어난 104만 7천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분기 기준으로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다. 2019년 1분기부터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결국 4분기 기준으로 처음 100만 원을 넘어섰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는 2017년 2분기부터 11분기 연속 이어지고 있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비소비지출은 (4분기 기준으로) 처음 100만 원을 초과한 것으로 보인다”며 “경상조세와 이자 비용, 연금 납부액 증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비소비지출은 세금, 국민연금 보험료, 건강보험료, 대출 이자, 경조사비, 종교단체 헌금 등 소비 활동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가계 지출을 뜻한다.

항목별로 보면 작년 4분기 월평균 경상조세(근로소득세와 사업소득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 지출은 8.3% 늘어난 18만7천800원이었다. 가구간이전지출(용돈, 경조사비, 학자금 지원 등)은 12.8% 증가한 26만5천300원으로 집계됐다.

이자 비용은 11만9천900원으로, 1년 전보다 11.7% 늘었고, 사회보험 납부액은 16만9천500원으로 10.1% 증가했다. 연금 납부액은 7.9% 늘어난 16만5천원, 교회 헌금 등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은 6.7% 늘어난 13만2천원이었다. 비경상조세(양도소득세와 부동산 취·등록세 등 일회성으로 내는 세금과 과태료 등) 규모는 7천400원이었다.

은 국장은 “금리는 낮지만 대출 잔액 등이 증가하면서 이자 비용이 늘었고 사회보험료 요율 변화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