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스마트항만화 속도낸다...해수부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 확정

수출입 항만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인천항 스마트항만 구축 사업’이 본격화한다.

20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제101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해양수산부의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을 심의·확정했다.

심의·확정에 따라 IPA도 인천항 스마트 항만 구축 사업을 조속히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항만 구축 사업은 정부 차원의 정책 동력이 없어 기획단계에만 머무는 등 실질적인 추진은 미약한 상황이다.

이는 물류 주체와 설비 간 연계작업의 비효율 문제로 이어져 수출입 물류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특히, 인천항은 자동화 항만을 시범 운용 중인 부산항과 여수광명항 등과 비교해 항만출입체계를 보안용도로만 사용하는 등 첨단 기술의 활용도가 낮다.

이에 IPA는 이번 정부 심의 확정으로 항만 자동·지능화와 데이터 기반 물류 스마트화 등 구체적인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을 수출입 물류 전반에 활용할 계획이다.

우선, 수출입 물류 인프라 연계를 강화한다.

항만 자동화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항만 내 크레인·야드트랙터 등 장비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이를 통해 작업정보를 분석, 선박과 트럭에 항만 이용 가능시점과 하역 완료시점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해 터미널 운영사가 최적의 항만 운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터미널 운영사 간 데이터 교차검증으로 항만 물류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 화물처리 상황과 검역, 통관정보 등을 공유하는 항만정보 통합 플랫폼을 도입한다.

IPA는 이번 방안을 통해 2025년까지 선박의 항만대기시간과 트럭의 화물 반·출입 소요시간을 50% 감축하고 환적비용도 4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PA 관계자는 “인천항이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최첨단 항만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이와 별개로 인천항만의 차별화하고 특화된 항만시설임대관리시스템 등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