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학교에 들어가는 급식용 식재료에 유전자변형식품(GMO) 검사를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친환경 급식에 한층 가까워질 전망이다.
20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2020년부터 급식용 식재료 안전성 검사에 유전자변형식품(GMO) 검사항목이 추가로 들어간다. 방사능 수치만 확인하던 급식용 식재료 검사에 검사 항목을 추가한 건 이번이 7년만이다.
시교육청은 2014년부터 초·중·고 약 250개 학교를 대상으로 수산물 식재료에 대해 방사능 오염 여부를 검사해왔다.
대상 학교를 선정하면 급식 식단에 수산물이 들어가는 날짜를 확인하고 납품업체에 알리지 않은채 납품시간에 시교육청 관계자들이 학교를 찾는 식이다. 이렇게 현장에서 수거한 식재료 표본은 인천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해 요오드·세슘 등 수치를 토대로 적합성 여부 판단해 결과를 홈페이지에 게시하게 된다.
이번에 도입하는 GMO 검사 역시 같은 방식이다. 다만 방사능 검사를 해오던 수산물 재료 대신, 콩이 주 성분인 된장·두부 등 식재료나 옥수수 등 대두류를 중심으로 유전자변형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2020년에는 방사능 검사와 GMO 검사에 각각 400만원과 360만원 가량을 투입한다.
먼저 50개교에서 방사능을 확인하고 나면, 이 중 겹치지 않는 30개교를 추가로 선정해 GMO 여부를 검사하면서 표본을 넓힐 예정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까지 방사능 검사를 해온 학교등 중에서 문제를 발견한 곳은 1곳도 없었다”며 “2019년에는 적수 사태가 벌어지면서 검사를 진행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2020년부터는 검사항목과 대상학교를 넓혀 더욱 본격적으로 시행하려 한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