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20 부동산대책 규제 대상 빠진 인천 투기세력 몰리나

정부가 수원 등 경기 서남부 지역을 규제하는 ‘2·20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자 비규제지역인 인천으로 풍선효과가 옮겨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있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는 20일 국토부 세종청사 브리핑실에서 수원 영통·권선·장안과 안양 만안, 의왕 등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한 2·20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부동산 대책은 풍선효과가 발생한 수원 등을 신규 조정대상지역으로 묶고, 조정대상지역의 대출과 전매제한 등 규제 수위를 높인 것이 핵심이다.

2019년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경기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풍선효과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인천 부동산업계는 2·20 부동산 대책에 따른 영향으로 경기 서남부 지역의 투기세력이 인천으로 몰려 올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천은 2월부터 송도국제도시와 검단신도시 등 신도심과 미추홀구·부평구 재개발구역 등 원도심의 모두 아파트와 분양권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송도의 경우 신축 아파트는 3.3㎡당 2천만원을 넘어섰고, 미추홀구 등 일부 재개발구역은 속칭 피값만 1억~2억원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천 부동산업계는 경기 서남부 지역의 투기세력이 인천으로 옮겨와 신도심과 원도심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수개월간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승표 송도 부동산연합회 회장은 “정부가 집값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히 반응하다 보니 실수요자나 투기세력 모두 들썩이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본다”며 “풍선효과로 3~4월까지 아파트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많다”고 했다.

김선유 공인중개사협회 인천지부장은 “인천도 최근 아파트 가격을 보면 (투기세력이) 훑고 지나가 많이 올랐다”며 “수원 등 경기 남부 지역이 묶이면 인접한 인천으로 수요가 쏠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일부 원도심 재개발 구역은 개발 호재가 없는데 피 값이 1억 이상인 것을 보면 투기세력이 들어온 것”이라며 “이러한 분위기라면 실수요자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했다.

강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