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1월 항만 물동량 감소...국내 저비용항만업계 초비상

코로나19 여파로 인천항만업계와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해양수산부와 항공사 등에 따르면 해수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인 ‘통합 포트미스’에서 인천항의 대중국 2020년 1월 화물수송실적은 287만4천557t으로 2019년 1월(329만6천335t)보다 12.8% 감소했다.

중국과 교역한 컨테이너 물동량도 2020년 1월 16만2천184TEU로 2019년 1월(17만1천579TEU)보다 5.4% 감소했다.

특히, 선박입출항 실적이 가장 크게 떨어졌다.

2020년 1월 기준 인천항을 오갔던 중국 선박이 567척(877만429t)으로 2019년 1월(695척, 1천69만9천638t)과 비교해 128척(18.4%)이 줄어든 것이다.

이에 인천항만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해 선사들은 물론, 업계 전반의 경영실적이 악화할까 우려하고 있다.

컨테이너 수요 감소와 운임하락이 결국 선사들의 계선(선박을 육지에 매어 두는 것) 및 임시결항을 증가시켜, 항만물류를 담당하는 선사, 하역사, 도선사, 운송업체 등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 해운시황 주요 지수로 해운업계 시황을 대변해주는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춘절이전(1.23) 981을 기록했으며, 14일에는 7% 하락한 910을 기록했다.

또 해운 업황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벌크화물 운임지수(BDI) 또한 13일 기준 421로 1월 2일(907)보다 54% 떨어졌다. BDI는 지수가 낮을수록 해운 업황이 안 좋다는 의미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1월보다 2월 상황이 더 심각한데다, 인천은 중국 의존도가 높아 특히 항만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며 “카페리 선사 등 특정 분야가 아닌 업계 전반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특별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최근 긴급재정지원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면서,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항만 관계 산업에 대한 지원 등 단계별 대응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국과 동남아 노선을 주로 운항하는 LCC들도 코로나19의 여파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중국과 일본, 동남아 등 32개 국제노선을 운항하는 에어부산은 최근 중국 9개 노선을 모두 중단했다.

제주항공은 300억원 넘는 적자를 기록했으며, 에어부산도 10년 만에 적자로 전환하는 등 저비용 항공사 대부분이 적게는 100억 원대에서 많게는 500억 원 넘게 영업손실을 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비용 항공사들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LCC 한 관계자는 “상황이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일부 희망자에 한해서 직원들은 무급휴가를 진행하고 임원들은 급여 2~30%를 반납하는 거로 적자 타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송길호·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