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액화석유가스(LPG) 배관망 확충(포천)ㆍDMZ 평화의 길(강화)ㆍ한탄강 주상절리 길 조성(연천ㆍ포천) 등 접경지역 발전 관련 53개 사업에 올해 2천160억원을 투자한다.
행정안전부는 국토교통부,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산림청 등 7개 부처와 함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2011~2030년)의 2020년도 사업 계획을 확정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계획은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개발이 정체된 접경 지역 15개 시·군의 발전을 위해 225개 사업에 총 13조2천억원을 투자하는 게 골자다.
이중 경기도는 접경지역 7개 시군인 고양, 파주, 양주, 포천, 동두천, 연천 등 38개 사업에 3조 5천171억원(국비 1조7천982억, 지방비 4천792억, 민자 1조2천397억원)이 투입된다.
사업 분야는 생태·평화 관광 활성화(19개·499억원), 생활SOC(사회간접자본) 확충 등 정주여건 개선(15개·644억 원), 균형발전 기반 구축(8개·439억 원), 남북 교류협력 기반 조성(11개·578억 원) 등 4가지로 구분된다.
분야별로 보면 먼저 정주여건 개선 분야에는 접경지역의 부족한 문화·복지시설 확충을 위해 민간과 군인이 공유하는 거점형 ‘주민복지문화센터’ 7개소(연천·양주 등) 설치비 270억원 등 15개 사업에 644억 원이 투입된다.
또 올해부터 2년간 83억 원을 들여 도시가스 공급이 안 되는 접경지역 포천시 관인면(239세대) 등 4곳에 액화석유가스(LPG) 배관망을 설치한다. 포천의 도시가스 보급률은 44.9%이고 전국 평균 84%에 크게 못 미친다. 도시가스에 비해 39% 더 비싼 실내등유를 사용해 연료 부담이 큰 상황이다.
아울러 동두천 상패동 악취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는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위해 상생협력사업 일환으로 곤충테마파크 조성사업(국비 180억, 지방비 180억)과 동두천·양주 상생플랫폼 구축사업(국비 165억, 지방비 165억)이 반영됐다.
생태·평화관광 활성화 분야에는 한탄강 권역의 주상절리 협곡의 가치를 높이는 연천·포천 한탄강 주상절리길 사업에 94억 원, 남북 분단의 현장과 생태·문화·역사 자원을 체험할 수 있는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조성(인천 강화 ~ 강원 고성)에 102억 원 을 각각 투입한다.
남북교류 협력기반 조성 구축분야에는 접근이 불편한 도서간 연결 및 향후 남북 교통망 구축을 위해 추진하는 ‘영종~신도 평화도로’ 사업 82억 원 등 11개 사업에 578억을 투입한다.
윤종인 행안부 차관은 “각종 규제로 지역 발전에 제약받아 온 접경 지역이 최근에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지역 경제에 타격을 받고 있다”며 “어려운 상황이지만 접경 지역 성장기반 동력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