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들 “돈있어도 물건 못 구한다” 반발
도교육청 “정부부처와 논의 안정적으로 공급”
경기도교육청이 마스크ㆍ손소독제 등 방역물품 구매를 ‘학교’에 떠넘겨 현장에서 볼멘소리가 쏟아지자 정부에 ‘방역물품 학교 우선 지급’ 등 의견을 건의(본보 2월21일자 6면)하는 등 뒤늦게 수습에 나선 가운데, 결국 이 뜻이 받아들여졌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오후 전국 17개 시ㆍ도 교육감과 영상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우려로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교 개학이 연기됨에 따른 후속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긴급 돌봄이 필요한 학부모가 있는지에 대한 수요조사(24~26일) ▲코로나19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상향됨에 따른 지역사고수습본부장은 변경(각 지역 교육감이 담당) 등 논의가 오갔다.
이 중 특히 주목할 부분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가 힘을 합쳐 ‘공공기관에 마스크를 우선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영상회의를 마친 후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이날 오후 긴급브리핑을 통해 “교육당국 입장에선 마스크 문제가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식약처ㆍ기재부와 논의해 ‘공공기관에 우선 공급하는 지원방안을 마련하자’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개학이 연기된 만큼 어느 정도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며 “방역물품이 부족하거나 더 필요한 경우 교육부로부터 특별지원을 받거나, 도교육청 자체 예비비에서 지출하는 식으로 확실히 조치하며 물품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마스크를 지급하겠다면서도 정작 물품 구매를 ‘학교 자율’에 맡기겠다고 발표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당시 일선 학교들은 “돈이 있어도 물건을 구할 수가 없다”며 반발, 이후 도교육청은 정부에 ‘방역물품 학교 우선 지급’ 등 의견을 전달했다.
이와 함께 24일 경기교사노동조합 등도 “개학 연기 결정으로 확보된 1주일 동안 총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교육당국 차원에서 기초 방역물품이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식약처가 보유한 마스크 200만 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해 (급할 시) 이를 활용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으며, 개학까지 2주간 여유가 있으니 정부 부처와 논의해 학교가 안정적으로 마스크를 공급받도록 할 것”이라며 “1일 1~2회 상황점검을 하면서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ㆍ공유하겠다”고 밝혔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