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는 안산 세월호 추모공원

정부, 트라우마 회복 등 차별화 공동체 복합시설 추진
연구용역 발주에… 주민들 “선거도구로 악용” 반발

정부가 세월호 참사로 사회적 충격을 겪은 안산시민들을 위한 ‘공동체 복합시설’ 설립을 추진한다. 세월호피해지원법에 따른 것으로 정부는 공동체 복합시설 조성을 통해 주민갈등 상황 해소 및 지역 공동체성 회복, 포용과 사회적 가치 창출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4ㆍ16 생명안전공원(가칭)’ 설립에 대해 여전히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이어지면서, 세월호피해지원과 일맥상통한 이번 공동체 복합시설 조성 역시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행정안전부와 안산시 등에 따르면 행안부는 최근 ‘안산 공동체 복합시설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이번 용역은 안산시에 조성하려는 공동체 복합시설의 설립 타당성 및 파급 효과와 조성계획, 운영방안 등을 분석해 추진 방향성을 마련하고자 진행된다. 사업기간은 계약 후 240일로 예산은 2억원이 주어진다.

공동체 복합시설은 현재 운영 중인 트라우마 회복 프로그램 등 기존 유관시설과 차별화된 운영 목적이 제시될 예정이다. 특히 4ㆍ16생명안전공원을 비롯한 세월호 참사 극복 시설과 연계 방안도 검토된다.

이번 공동체 복합시설은 생명안전공원 부지를 안산시가 정부에게 무상으로 제공해 주기로 하면서 안산시가 정부에 국립도서관, 국립의료원과 함께 공동체 복합시설 건립을 요청한 결과다. 이에 따라 행안부(공동체 복합시설)와 문화체육관광부(국립도서관), 보건복지부(국립의료원) 등 각 부처가 안산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을 도맡게 됐다.

그러나 생명안전공원 부지 무상 제공과 위치(화랑유원지) 등을 두고 일부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끊이지 않으면서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도 덩달아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피해지원법에 따른 사업은 납골당을 끼워 넣기 위한 ‘위장 정책’이라는 것이다. 정창옥 화랑지킴이 시민행동 공동대표는 “세월호와 관련된 것들은 모두 반대한다”며 “공동체 복합시설 설립 등 아이 달래듯 하는 정부의 행태는 시민들을 농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더구나 4ㆍ15 총선이 다가오면서 생명안전공원과 공동체 복합시설 등 설립을 둔 여ㆍ야 공방도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2018년 제7대 지방선거에서도 ‘추모공원 설치’를 선거운동에서 활용, 일부 후보들이 세월호 참사를 선거 도구로 악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받았다.

이에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공동체 복합시설은 말 그대로 주민들을 위한 편의시설로 반대가 심한 생명안전공원 등과는 성격이 다르다”며 “시설 설립에 불만이 있는 주민들과는 지속적으로 이야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공동체 복합시설과 국립의료원, 국립도서관 등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만을 위한 시설이 아닌, 모든 안산시민을 위한 시설”이라고 강조했다.

구재원ㆍ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