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에코사이언스파크 사업, 인천대와 먼 거리 등으로 난항…그린벨트 해제도 늦어지면서 시 GB부지 사업 구역에서 제외

인천시가 추진하는 에코사이언스파크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기술핵심기관과 배후부지 간 거리가 멀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기준을 미충족하기 때문이다. 시는 아예 사업 부지 내 개발제한구역(GB)을 빼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다.

26일 시에 따르면 송도에 있는 인천대학교와 서구 오류동 일대, 검단산업단지 등을 연계하는 에코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인천대는 기술핵심기관이며 서구 오류동과 검단산단은 기술핵심기관의 배후부지다. 환경부와 시는 이 사업을 과기정통부가 공모하는 강소특구 사업에 신청한다는 방침이다. 강소연구특구에는 연간 20억원 규모의 국비가 연구개발비로 지원하며 특구에 있는 연구소, 기업, 첨단기술기업은 세제 감면 혜택을 받는다.

그러나 에코사이언스파크는 기술핵심기관과 배후부지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강소특구는 배후부지가 다수일 때에는 핵심기술기관과 배후부지 간 직선거리가 3㎞를 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인천대와 서구 오류동 일대, 검단산단 등은 모두 10㎞ 이상이다.

특히 배후 부지 내 GB 해제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도 사업 추진을 막는 요인이다. 배후부지 중 오류동 일대에는 약 17만㎡의 GB가 있다. 이 GB를 해제하려면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GB 총량제 등이 있어 에코사이언스파크 조성 사업을 이유로 해제하기란 쉽지 않다. 시는 지난 2018년 3월 에코사이언스파크 조성안을 확정했지만 지금까지도 GB 해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결국 시는 서구 오류동 일대 배후부지에 있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인천대가 업무협약을 통해 배후부지 내 인천대의 일부 과를 옮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기술원도 검단산단 배후부지와는 3㎞ 넘게 떨어져 있어 검단산단에도 인천대를 일부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에코사이언스파크 사업 구역에서 GB 전체를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지난 2019년 12월 환경부, 인천대, 용역사 등과 함께 연구원 인근 부지 34만639㎡를 제외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부지를 축소하면 배후부지 내 유치할 사업체 수도 줄어드는 한계가 불가피하다.

시는 곧 이 같은 방안들을 확정하고 주민 공청회를 거쳐 오는 7월 과기부에 강소특구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GB를 사업 구역에서 모두 제외하는 것에 대해서는 앞서 관계 기관과 논의한 적은 있지만 확정한 것은 아니다”라며 “여러 문제가 있지만 다양한 방안을 놓고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고 했다.

한편, 에코사이언스파크는 인천대와 국립환경과학원 등 연구기관과 산업단지에 유치한 환경기업을 연계해 인천의 환경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