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민선 7기 교통분야 공약사항인 ‘경기도형 버스 준공영제’가 첫 시동을 걸었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공공이 노선을 소유하고 입찰경쟁을 통해 선정된 민간 운송사업자에게 일정기간 운영권을 위탁하는 ‘노선입찰제’ 방식의 ‘경기도 공공버스’를 1일부터 오는 4월 1일까지 시범운행한다.
도와 관할시군이 서비스를 책임지는 ‘경기도 공공버스’의 시범사업 대상은 19개 시군 16개 노선에 차례로 적용한다.
운행일자는 ▲1일 김포시(G6001번, G6003번), 용인시(7007-1번) ▲9일 양주시(8906번) ▲13일 광주시(G3202번) ▲17일 의왕시(G3900번), 이천시(G2100번), ▲19일 의정부시(G6000번) ▲20일 양평군(G9311번) ▲24일 양주시(G1200번) ▲27일 구리시(G1690번) ▲30일 화성시(G6009번), 시흥시(3301번) ▲4월 1일 연천군(G2001번), 파주시(3100번), 부천시(G8808번) 등이다.
이와 관련 도는 ‘친절기사 인증제’를 도입, 버스 운수종사자 전원이 공공에서 운영하는 친절교육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하고 사후 수시 모니터링을 통한 검증된 종사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 ‘친절 운행’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 파주시, 연천군 노선은 31인승 리무진 버스를, 그 외 노선도 41인승 버스를 투입하여 차량을 고급화했다. 이와 함께 좌석에서 편하게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공공 WIFI’, 차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청정시설’, 휴대전화 및 모바일 장치 등을 충전할 수 있는 ‘USB 충전포트’ 등 다양한 승객 편의장치가 차량 내에 설치된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 16개 노선 중 의정부시, 화성시 등 12개 노선은 관내 8개 이내 정류소만 정차하는 ‘급행노선’이다.
이용주 경기도 공공버스과장은 “경기도 공공버스는 도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 광역교통 불편지역에 선제적으로 노선을 확대 운행하겠다”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