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구 거주 여의도 파크원 직원
같은 팀 4명 ‘양성’ 등 추가 가능성
서울시와 정보공유 늦어 검역 구멍
서울 여의도 파크원 공사현장에서 인천에 사는 직원이 잇따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며 슈퍼 전파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시는 이 현장에서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후 4일 동안 현장 직원 중 몇명이 인천 시민인지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일 연수구 보건소에서 검체 검사를 한 연수구 주민 A씨(57)가 ‘양성’ 판정을 받아 인천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모두 7명으로 늘었다. A씨는 파크원 공사 현장 근무자다. 이 현장에서만 A씨를 비롯해 같은 팀의 동료, 그리고 협력업체 직원까지 모두 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다만 지난 2월 26일과 28일 각각 확진자는 서울에서 확진 판정을 받아 인천 통계에는 잡히지 않는다.
그러나 시는 이 현장에서 근무한 직원에 대한 정보 파악 등을 하지 않았다.
시공사 본사와 많은 직원이 사는 사실상 사옥 아파트가 인천에 있지만, ‘서울에서 확진 판정이 나왔다’는 이유로 적극적이지 않은 셈이다.
이 공사현장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속출하자 시는 뒤늦게 시공사측에 직원 중 인천시민 현황을 요구했다. 현장에서 첫 인천시민 확진자가 나온지 4일만이다.
현재 파크원 공사현장에는 이들 4명의 확진자를 포함해 모두 18명의 인천시민이 직원으로 있어 추가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 시는 18명 중 확진자를 뺀 모든 인원에 대한 검체 검사를 했으며, 현재 11명은 음성 판정이 나왔다. 3명은 검체 검사 중이다.
더욱이 서울시와의 정보공유도 이뤄지지 않았다. 서울시는 현장 직원 전원 자가격리를 명령했지만, 이 같은 내용은 인천시에 공유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검역 공조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난 2월 18일 현장에 방문해 확진자와 접촉한 협력업체 직원 B씨(65)를 검역 과정에서 놓치기도 했다. 게다가 B씨는 서울시가 초기 역학조사에서 밀접접촉자로 분류하지 않아 자가격리 조치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또 서울시가 자가격리자에 대한 관리를 허술하게 한 탓에 A씨는 서울 숙소에서 벗어나 지난 1일 연수구 보건소에서 검체 검사를 받고 최종 확진 판정 받았다. 이 과정에서 A씨는 인천 자택을 방문해 아내와 만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에서 적극적으로 정보 공유를 해주지 않아 아쉽다”며 “앞으로 지역사회 확산을 예방하려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